본문 바로가기
컨텐츠속 역사이야기

[대왕세종]스승 이수(李隨)는 음주운전으로 사망하였다.

반응형


 먼저 인터넷 백과사전에 나온 이수(李隨)에 관한 글로 시작합니다.

이수(李隨)
1374(공민왕 23)∼1430(세종 12).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봉산(鳳山). 봉산이씨의 시조. 자는 택지(擇之), 호는 심은(深隱) 또는 관곡(寬谷).1396년(태조 5)생원시에 제1위로 합격하였으며, 1410년(태종 10)왕이 경명행수(經明行修: 경서에 밝고 행실이 바름)한 사람을 구할 때, 대사성 유백순(柳伯淳)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였다.이듬해 왕명을 받고 상경하여 여러 왕자의 교육을 맡아보았다.
1412년 종묘서주부(宗廟署主簿)를 지내고, 1414년 왕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취사(取士)할 때, 제4위로 급제, 전사주부(典祀主簿)·공조정랑·예조정랑을 역임하고, 1417년 전사소윤(典祀少尹)을 지냈다.
이듬해 세종이 즉위하자 사재감정(司宰監正)·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 1422년(세종 4)황해도관찰사를 거쳐, 고부부사(告訃副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1423년 예문관제학·이조참판, 1425년 중군도총제(中軍都摠制)·참찬의정부사를 역임하였다.1427년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하였고, 1429년 예문관대제학·이조판서에 재 등용되고, 이듬해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취중에 말에서 떨어져 죽었다.
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출처 : 엠파스 백과사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글에서 태종(이방원)이 경서에 밝고 행실이 바른 사람을 구할 때 천거되었다는 사실로 보아 그의 성품은 드라마와 같은 성격의 이른바 검증이 된 인물로 생각이 드는데요. 이상한 건 이런 인물의 사망 원인이 취중에 말에서 떨어진 것으로 현재로 말하면 일국의 장관급 인사가 음주운전으로 사망한 것인데 이것은 음주운전을 단속하지 않는 당시의 관점으로 보더라도 분명히 적절치 않은 행동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세종의 스승 이수는 드라마에서처럼 세종의 유년시절 당시 충녕이라 불렸던 왕자의 올바른 자아실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순도 100%의 스승 상은 아니었습니다.


☞ 충녕의 스승으로 처음 내정된 자는 이수가 아니었다
 
 위 백과사전에서처럼 이수는 대사성 유백순(柳伯淳)의 천거로 뽑혔으나 사퇴하지만, 이듬해 다시 상경하여 왕자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는데요. 사실 왕자의 교육을 담당하기로 한 인물은 한성판윤 김과라는 사람이었지만 당시 그의 업무가 너무 과중하기에 태종이 유백순에게 성균관 유생 중 적임자를 추천하게 하여 이수가 지명된 것입니다. 이때 이수의 나이 34세 충녕의 나이는 11세였습니다.

따라서 당시 생원이었던 이수의 신분으로 충녕의 자아실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치는 아닌 듯 판단되며 단지 교육과정의 일부를 담당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이수에게 배정된 왕자는 충녕만이아니고 다른 왕자들도 같은 교육을 받았기에 드라마에서 스승과 제자의 돈독한 관계로까지는 발전하지 않았을 겁니다만 세종이 그의 스승 이수에 대한 배려는 상상이상이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충녕이 왕이 된 후 날개를 달다. 그러나….

 충녕이 즉위하자 이수의 출세가도엔 가속도가 붙습니다. 사재감정(司宰監正)·좌군동지총제(左軍同知摠制), 1422년(세종 4)황해도관찰사를 거쳐, 고부부사(告訃副使)가 되어 명나라까지 다녀오게 됩니다.

 이런 가속도에는 제동장치가 없었던 터라 이산의 홍국영처럼 그 또한 초심을 잃어버리고 마는데요.1422년 (세종 4) 세종은 황해도 관찰사 이수가 음탕한 짓을 저질러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는 내용을 접합니다. 그 죄명은 풍기문란으로 황해도 관내를 순찰할 때 말에 기생을 태우고 다니는 등 음탕한 행동을 하였다는 것인데요. 왕의 스승이었던 인물을 탄핵할 정도였다면 상당히 심각했다 판단이 됩니다.

 하지만, 앞선 포스트에서 언급한 황희, 조말생처럼 이수는 세종의 특별한(?) 배려로 1년여의 공백 기간만 가지고 다시 화려하게 복귀하게 되는데 문제는 그가 저질렀던 과거사가 또 한 가지 남아있었다는 것입니다.

 이수가 복귀한지 얼마 못 가 뒤늦게 알려진 그의 죄는 뇌물수수죄였습니다. 이수는 태종의 죽음을 알리고자 사신으로 명나라에 갔다 돌아오는 길에 의주에서 김을신,최윤복으로부터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사례금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일로 또다시 면직되고 말았으니 몇 번에 걸친 그의 행적은 세종의 스승이라 하기엔 너무나 많은 초라함이 보일 뿐입니다.



☞ 순직이 아닌 음주운전으로 사망하다.

 14일 방영된 <대왕 세종>에서 고려지경(高麗之境)을 지키려나 명나라의 비밀기관인 동창에 의해 장렬하게 순직하는 장면이 나오는데요. 이 또한 실제역사와는 다른 부분이라 언급하겠습니다.

고려지경(高麗之境) : 고려 예종 2년(1107) 평장사 윤관(尹瓘, ?-1111) 등이 17만 군사를 이끌고 여진족을 물리친 뒤 국경을 넓혀 그곳에 육성을 쌓고, 마침내 선춘령(先春嶺:두만강 북쪽)에 '고려지경(高麗之境)' 네 글자가 새겨진 비를 세움.

  이수는 1430년 병조판서로 있을 때 57세의 나이로 사망합니다. <세종실록>에 따르면 이수는 술에 취해 말을 타고 가다 떨어져 사망하는데요. 요즘으로 비유하면 음주운전을 하다가 죽은셈인데 이는 한나라의 관료이면서 한때는 왕의 스승을 지낸 자로서는 분명히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종이 그의 스승 이수에 대한 배려는 상상이상이었는데요. 이수가 사망하자 세종은 흰옷을 입고 애도하는 식을 거행하였고, 정승의 예에 따르는 장례를 명하였고 세종의 묘에 배향되었습니다. (서울 종묘에 위폐가 봉안되었으며, 세계문화유산에 왕과 신하의 제사를 같이 지내는 유일한 곳이라 하여 등재되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한마디...

  개인적으로 역사에 관심이 많아 사극을 챙겨서 보는 편인데 [대왕세종]처럼 역사 왜곡이 심한 드라마는 정말 처음입니다. 사극작가는 일반 드라마와는 달리 대중들에게 드라마적 재미를 떠나 일단은 진실이라는 기본 틀 속에서 작품이 만들어져야 한다 생각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왜곡이 아무런 통제장치 없이 드라마니 영화로 재생산된다면 이제 갓 두 돌이된 우리 아기가 크면 보여주어야 할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역사를 진실하게 다룬 사극은 아마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걱정이 들 뿐입니다. <어떤 오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