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ETF 전략 보고서 - 24년 5월 4주

 

  LS 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간한 국내 ETF 전략 보고서는 최근 주간 시장 동향, ETF 전략, 미국 시장 심리, S&P 500 실적, 주간 펀드 흐름, 글로벌 주식 및 채권/상품 펀드 흐름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룹니다. 이 글에서는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전략을 상세히 분석합니다.

주요 포인트

💡 주간 시장 동향: 지난주 미 증시는 DOW -0.98%, S&P 500 -0.51%, NASDAQ -1.10%로 하락 마감.

📉 AI 모멘텀: 엔비디아의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국채 금리 상승과 일부 기업 실적 발표로 인해 주간 상승폭 반납.

🔍 국내 ETF 분석: 외국인 매수세가 유의미한 ETF의 성과 분석, 특히 15 거래일까지의 초과성과가 가장 유의미함.

📊 글로벌 펀드 흐름: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의 지역별 주간 유입강도와 누적 흐름 분석.

📈 S&P 500 실적: 업종별 순이익 증가 및 감소 기업 분석, 정보기술 및 유틸리티 업종이 상위권에 위치.

💼 ETF 전략: 설정 유입 강도에 따른 초과성과, Outlier 제거 후 더 뚜렷한 초과성과 확인.

🔗 연준 발언: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으로 국채 금리 상승 되돌림,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논의.

📉 경제 지표: 5월 시카고 PMI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하회, 과거 경기침체 수준 기록.

📅 개인소비지출: 4월 PCE 물가 둔화로 증시에 우호적인 데이터 발표.

📊 글로벌 주식 펀드: 지역별 주간 유입강도 및 누적 펀드 플로우 분석, 대만과 홍콩의 펀드 흐름 주목.

 

 

 

📊 주간 시장 동향

📉 미 증시 하락

지난주 미 증시는 DOW -0.98%, S&P 500 -0.51%, NASDAQ -1.10%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주도주였던 엔비디아는 실적 서프라이즈와 액면분할 모멘텀 지속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국채 금리 상승과 일부 기업의 실적 발표 이후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엔비디아는 주간 +2.97% 상승 마감했습니다.

💡 엔비디아 주가 상승

엔비디아는 AI 슈퍼 컴퓨터 구축 계획 발표 후 주간 2.97%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엘론 머스크의 엔비디아 H100 칩 10만개를 탑재한 AI용 슈퍼 컴퓨터 구축 계획 발표에 이어, AI 스타트업 xAI가 60억 달러 규모의 투자금 유치에 성공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국채 금리 변동

5월 FOMC 이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4월 CPI로 국채 금리가 급락했습니다. 이후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으로 금리 상승 되돌림이 진행되었습니다. 국채 입찰 부진과 재무부 국채 바이백 등의 이슈도 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국내 ETF 전략

🔍 외국인 매수세와 초과성과

외국인 매수세가 유의미한 국내 상장 ETF의 초과성과를 분석했습니다. 설정 유입 강도가 높을수록 초과성과가 두드러지며, 특히 15 거래일까지의 초과성과가 가장 유의미했습니다. 예를 들어, KBSTAR 2차전지 TOP10 ETF는 설정 유입 강도에 비례하여 높은 초과성과를 보였습니다.

📊 유입 강도 분석

설정 유입 강도에 따른 초과성과를 분석한 결과, 유입 강도가 높을수록 초과성과가 두드러졌습니다. Outlier 제거 후 더 뚜렷한 성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15 거래일까지의 초과성과가 기간 대비 가장 유의미했습니다.

 

 

 

🌐 글로벌 펀드 흐름

📉 주식형 펀드 흐름

주식형 펀드의 지역별 주간 유입 강도와 누적 흐름을 분석했습니다. 대만과 홍콩의 펀드 흐름이 주목받고 있으며, 지역별 유입 강도 분석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두드러진 유입을 보였습니다.

📈 채권형 펀드 흐름

채권형 펀드의 지역별 주간 유입 강도와 누적 흐름을 분석했습니다. 북미와 유럽 지역의 유입 강도가 두드러졌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도 유의미한 유입을 보였습니다.

 

 

 

🧩 S&P 500 실적 분석

📈 업종별 순이익 증가 및 감소

S&P 500 업종별 12MF 순이익 증가와 감소 기업을 분석했습니다. 정보기술 및 유틸리티 업종이 상위권에 위치하였으며, 엔비디아, NetApp, Vistra 등의 기업이 높은 순이익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Intel, First Solar, NRG Energy 등의 기업은 순이익 감소를 보였습니다.

📉 경제 지표 발표

4월 PCE 물가 둔화와 개인소비지출 데이터가 증시에 우호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5월 시카고 PMI는 시장 예상치(41.1)를 크게 하회하며 35.4를 기록, 과거 경기침체 수준을 보였습니다. 이는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연준 발언 및 금리 인상 가능성

📈 연준 위원 발언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으로 국채 금리 상승 되돌림이 진행되었습니다. 일부 위원들은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논의했지만, 대부분은 현재 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 금리 인상 시나리오

연내 두 차례를 넘어서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낮지만, 필요할 경우 인상을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시장에 일정한 불확실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결론 및 투자 전략

📈 국내 ETF 투자 전략

국내 상장 ETF에 대한 외국인 매수세가 유의미한 성과를 보이며, 설정 유입 강도가 높은 ETF에 대한 투자가 유망하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설정 유입 강도에 따른 초과성과를 분석한 결과, 특히 15 거래일까지의 성과가 가장 두드러졌습니다.

🌐 글로벌 투자 전략

글로벌 펀드 흐름 분석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북미, 유럽 지역의 투자 유망성을 확인했습니다.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 모두 유의미한 유입을 보이며, 지역별로 차별화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 S&P 500 실적 기반 투자 전략

업종별 순이익 증가와 감소 기업을 분석한 결과, 정보기술 및 유틸리티 업종에 대한 투자가 유망하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이는 해당 업종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것입니다.

 

 

* 본 분석은 한경컨센서스에 등재된 LS 증권 리서치센터에서 발간한 국내 ETF 전략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