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19_9_1_33_blog171194_attach_0_2.jpg?original)
주몽은 40%를 넘나드는 시청률로 최고의 국민드라마가 되었지만 허술하고 작은 스케일의 전투신으로 비난을 받았으며 태왕사신기는 역사물이기 이전에 판타지 성격이 강해서 전투신에서도 cg를 이용한 각종 마법 효과들이 시청자들의 시신경을 자극했던데 반해 연개소문과 대조영은 화려하고 스케일이 큰 대규모 전투신에 나름대로 고증까지 받아 당시의 정통무예를 표현하고자 했던 노력이 엿보이기도 하였습니다.
![]() |
![]() |
![]() |
2006, 2007년을 대표했던 이 네 가지 사극에서는 편당 수차례의 화려한 전투신들이 시청자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았지만 그 일면엔 잔인하고 자극적인 비주얼로 인해 방영이 끝날 때까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19_9_1_33_blog171194_attach_0_2.jpg?original)
MBC 이산과 KBS의 대종세왕이 탄탄한 줄거리와 섬세한 심리묘사로 지금까지 인기를 받고 있지만 초반보다는 많이 시들해진 듯하고 SBS 왕과 나는 초반 이색적인 소재와 아역 연기자들의 연기력에 힘입어 기분 좋게 출발하였지만 이후 성인배역의 연기력 미흡, 연출자의 중도 교체 및 불미스러운 일로 인해 지금은 조기 종영설도 흘러나오는 형편입니다.
![]() |
![]() |
국민드라마가 되고자 화면을 온통 붉게 물들였던 전작들의 영향으로 외면 아닌 외면을 받는 현재의 사극들을 보며 자극적인 소재와 무미건조한 결말로 시청자들을 유혹하는 대중매체들의 안타까운 단면을 보는듯해 왠지 씁쓸한 기분이 드네요.
개인적으로 저는 대왕세종이 취향에 맞아 꼬박꼬박 챙겨 보고 있답니다.
(육박전보단 심리전을 좋아해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