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20_9_1_33_blog171194_attach_0_2.jpg?original)
"나, 편당 2,000만원 받는 작가야!"
시청률 보증수표라고 불리던 고액 출연료를 받는 톱스타들이 출연해도 진부한 이야기 전개와 떨어지는 완성도 앞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대하기 어려워진 게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실패작으로 SBS의 "푸른 물고기"를 들 수 있는데요. 고소영이 긴 공백을 끝내고 출연해 초반 관심을 끄는 덴 성공했지만 드라마가 방영되면서부터는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죠. 물론 남녀주인공의 어색한 연기호흡도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가장 큰 문제는 소위 로미오와 줄리엣식의 진부한 스토리가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게 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을 했습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5/20_9_1_33_blog171194_attach_0_4.jpg?original)
SBS 푸른 물고기
물론 장혁이라는 톱스타가 출연했지만 군입대 문제로 한동안 외면을 받았던 인물이었고 여주인공인 공효진 또한 톱스타 반열에는 들지 않는 배우지만 주인공 및 조연들의 탄탄한 연기력으로 방영 내내 화제가 되었었지요.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6/20_9_1_33_blog171194_attach_0_7.jpg?original)
MBC 고맙습니다.
실제로 스타작가의 대명사인 김수현 작가도 최근 50부작 드라마 계약을 하면서 19억 2500만원을 받기로 해 회당 3850만원이라는 엄청난 원고료를 받기로해 화제가 되었고요. 그 외에도 임성한, 송지나, 최완규 등의 유명 작가들도 회당 2000만~3000만 원의 원고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최완규 |
![]() 송지나 |
![]() 김수현 |
요즘 인기리에 방영되는 SBS "온에어"의 서영은 작가(송윤아 분)가 입버릇처럼 말하는 "나, 회당 2000만원 받는 작가야!"라는 대사가 터무니 없는 얘기가 아닌 것입니다. . 또한, 이 드라마에서처럼 제작환경과 배우 캐스팅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의 작가 파워는 이제 당연한 얘기가 되어버렸으니...
하지만, 이들 극소수의 유명작가들의 뒤엔 여전히 회당 수십만 원도 못 받으며 시청률에 대한 부담과 불평등 계약 및 유명작가들과의 부익부 빈익빈에서 오는 소외감으로 한숨만 늘어나는 신인작가와 비드라부문 작가들의 있다는 사실을 한 번 정도는 생각해봐야 할 거 같습니다. <어떤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