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크게 곤란을 당하거나 손해를 입었을때 '골탕 먹었다'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여기서 골탕이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골탕 [-湯] [명사] 소의 등골이나 머릿골에 녹말이나 밀가루 따위를 묻혀 기름에 지지고 달걀을 씌운 후 이를 맑은장국에 넣어서 다시 끓여 익힌 국. ≒골국·수탕. 따라서, 골탕을 먹는 것은 맛있는 고기 국물을 먹는다는 말이었다는 것이죠. 문제는 '속이 물크러져 상하다'라는 뜻을 가진 "곯다"라는 말이 '골탕'과 음운이 비슷하여 골탕이라는 말에 "곯다"라는 의미가 부여되고, "먹다"라는 말에 "입다","당하다"의 의미가 들어가서 지금의 "골탕먹다"는 "겉으로는 멀쩡하나 속으로 남 모르는 큰 손해를 입게 되어 곤란을 겪는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검색어로 "산수갑산"을 검색하면 음식점의 상호로 많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사장님들이 "금강산도 식후경"의 연장선상에서 "산 좋고 물 좋은 곳"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거 같은데요. 안타깝게도 "산수갑산"은 잘못된 표현으로 삼수갑산(三水甲山)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삼수갑산(三水甲山)이 "산 좋고 물 좋은 곳"일 수는 있지만 삼수(三水)와 갑산(甲山)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춥고 험한 산골의 지명으로 조선 시대에 대표적 귀양지였습니다. 삼수(三水)는 세 개의 큰 물줄기가 합류하는 곳이라는 뜻을 가지 곳으로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가장 추운 지역에 속합니다. 겨울철 평균 온도가 영하 16~18도나 되며 접근하기 어려운 험한 오지(奧地)로도 유명합..
세종시 수정과 관련,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가 이를 반대하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대표를 '미생지신(尾生之信)'에 비유해 논란을 일으키자 박 전대표의 지지모임인 박사모에서 정 대표를 '이목지신(移木之信)'으로 반격하고 나서면서 이 두가지 사자성어가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요. '미생지신(尾生之信)'과 '이목지신(移木之信)'의 유래를 알려드립니다. 1. 미생지신(尾生之信) 미생이란 사람의 믿음이란 뜻으로, 미련하도록 약속을 굳게 지키는 것이나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 尾 : 꼬리 미 生 : 날 생 之 : 어조사 지 信 : 믿을 신 춘추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기다렸으나 여자가 오지 않자 소나기가 내려 물이 밀려와도 끝내 ..
캐논 주식회사(일본어: キヤノン株式会社 Kyanon Kabushiki Gaisha[*], Canon Inc.)는 영상 및 광학 기기에 특화된 일본 회사로 주요 제품으로는 사진기, 캠코더, 렌즈, 복사기, 프린터, 반도체 노광장치 등이 있습니다. 회사명인 캐논은 1933년 회사의 전신인 정기광학연구소에서 출시한 첫 카메라 시제품의 이름인 칸논에서 유래되었으며, 칸논(KWANON)은 불교에서 등장하는 관음(観音, かんのん)을 이야기하는데요. 관음보살의 자비에 힘입어 세계 최고의 카메라를 만드려는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으며 당시의 마크는 천수관음보살을 그려넣고, 화염광배(火焰光背)의 모양을 본떠 KWANON이라는 글자를 디자인해 넣은 형태였습니다. 정기광학연구소 창업자 중의 한 명인 요시다 고로는..
연탄에는 구멍 수에 따라 십구 공탄(19), 이십이 공탄(22), 삼십이 공탄(32)등이 있습니다. 1980년 이전에는 가정용은 19, 31공탄, 업소용은 49공탄으로 생산되었으나 1980년 이후 22, 25, 19, 31공탄으로 규격이 통일되었고 현재 가정용으로는 구멍이 22개인 이십이 공탄(22)이 주로 사용됩니다. 구공탄이라는 뜻을 먼저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연탄'이라는 검색어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연탄(煉炭, briquette) 이란 무연탄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다른 탄화물을 분쇄 ·배합하거나 점결제(粘結劑)를 혼합해서 성형 ·건조시킨 원통형 고체연료로 공기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구공탄' 또는 '구멍탄'이라고도 한다. 이외에 연탄을 구공탄으로 부르게 된 재미있는..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