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경왕후 민씨는 본관은 여흥(驪興:지금의 여주 부근))이며 여흥부원군(府院君) 민제(閔霽)의 딸로 1365년 여흥에서 태어났습니다. 1382년(고려 우왕 8년)에 방원에게 출가하였으며 1392년 조선 개국 후에는 정녕옹주에 봉해졌습니다.
이후 이방원이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을 진압하고 나서 세제로 책봉되면서 세제 빈으로 정빈에 봉해졌으며, 같은 해 11월에 방원이 조선 제3대 왕에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어 정비의 칭호를 얻게 됩니다.
원경왕후 민씨는 이방원보다 두 살 많은 연상으로 태종이 험난한 역경을 겪으며 왕이 되기까지 여러 방면에서 도움을 준 것이 사실입니다. 1398년 "제 1차왕자의 난"때 정도전 일파의 기습공격을 예상하고 태조(이성계)가 몸이 불편하여 여러 왕자와 함께 숙직하고 있던 방원에게 이 일을 알려 정도전 일파를 먼저 공격하여 정도전을 제거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등 민씨의 대범함은 조선의 국모가 되기에 충분한 자질은 지녔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왕비가 된 원경왕후의 삶은 그리 평탄치 못하였습니다. 태종은 외척인 민씨일가의 권력 분산과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후궁을 늘려나갔고, 민씨는 이에 대해 병적으로 보일 만큼 투기와 불평으로 태종의 심기를 흔들었는데 이것이 부부 사이의 불화로 번져갔고 그 결말은 끔찍하였습니다.
이즈음 태종은 세자인 양녕에게 왕위를 넘길 뜻을 표명하는 이름바 "1차 선위 파동"이 발생하는데 이 선위 파동을 계기로 민씨 형제의 교만은 극에 달했습니다. 외척 세력으로서 원경왕후와 양녕의 후광을 입고 하루가 다르게 높이 오르는 권세로 말미암아 눈이 멀고 만 것입니다. 태종(이방원)이 누이를 외면하고 후궁들만 가까이하자 양녕에게 찾아가 이 불만을 토로하게 되는데 이 일이 알려져 결국엔 탄핵을 받아 민무구, 민무질은 유배를 가게 되는데요. 이때만 해도 태종은 1차왕자의 난 때 세운 이들의 공과 왕비와 장인의 면목을 생각해 이 들의 목숨만은 보존하려 했으나 유배 중에도 종사에 어지럽히는 행동을 꾀하다 결국 사사되고 맙니다.
그 후 5년 뒤인 1415년에 원경왕후가 병이 들었을 때 세자가 병을 돌보는 자리에서 민무휼, 무회형제가 태종이 공신 민무구,무질을 죽인 것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는데 이를 고함으로서 이들은 폐서인 되어 유배를 당하게 된 후 사사되어 결국 친정이 멸문지화를 당하는 비운을 맞이하게 됩니다.
(한편에서 이런 민씨집안의 멸문지화는 외척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한 태종의 책략일 수도 있지만, 원경왕후 민씨와의 불화가 그 원인이라는 얘기도 있습니다.)
평생을 남편 이방원의 성공을 기원하며 모든 것을 희생했던 원경왕후 민씨에게 돌아온 것이 친정의 몰락과 아들 양녕 기이한 행보로 말미암은 폐위 등이었으니 그녀의 울분과 화는 아마 극에 달하였을 것입니다.
어제 방영된 [대왕세종]에서는 둘째인 효령이 펼치는 보국안민에 원경왕후도 가담하여 백성을 살피다 끝내 학질(말라리아)에 걸려 쓰러지고 마는데요. 드라마 상의 시점이 대바도정벌(1419년)이 끝난 후이며 역사상 그녀는 1420년 56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하는 것으로 유추해보건대 [대왕세종]에서 원경왕후 민씨의 모습은 다음 주가 마지막일듯싶네요. 더이상 최명길의 열연을 볼수없는건가요? <어떤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