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더하기 [+] 13세기경 레오나르도 피사노(이탈리아 수학자)가 7더하기 8을 '7과 8'로 썼는데, 라틴어로 '과'를 et라고 쓰는 데 이것을 필기체로 빨리 쓰면 +가 되어 "+" 기호가 만들어 졌습니다. 2. 빼기 [-] 1489년 비드만(독일의 수학자)이 '모자란다'라는 라틴어 단어 minus 의 약자 -m에서 -만 따서 쓰게 되므로 생겨났습니다. 또 다른설로 선원이 물통의ㅣ 뭉의 양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한 - 표시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3. 곱하기 [×] 처음 사용한 사람은 영국의 월리엄 오오트렛이 1631 년 "수학의 열쇠"라는 책에서이 기호를 처음 사용하였는데요. 십자가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4. 나누기 [÷] 이 기호는 오랜 옛날부터 쓰여왔고, 10세기 경..
캐논 주식회사(일본어: キヤノン株式会社 Kyanon Kabushiki Gaisha[*], Canon Inc.)는 영상 및 광학 기기에 특화된 일본 회사로 주요 제품으로는 사진기, 캠코더, 렌즈, 복사기, 프린터, 반도체 노광장치 등이 있습니다. 회사명인 캐논은 1933년 회사의 전신인 정기광학연구소에서 출시한 첫 카메라 시제품의 이름인 칸논에서 유래되었으며, 칸논(KWANON)은 불교에서 등장하는 관음(観音, かんのん)을 이야기하는데요. 관음보살의 자비에 힘입어 세계 최고의 카메라를 만드려는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으며 당시의 마크는 천수관음보살을 그려넣고, 화염광배(火焰光背)의 모양을 본떠 KWANON이라는 글자를 디자인해 넣은 형태였습니다. 정기광학연구소 창업자 중의 한 명인 요시다 고로는..
배탈 설사를 위해 태어난 약인 정로환은 1972년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이래 3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배탈,설사 상비약의 대명사로 인식될 정도로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로환은 원래 일본의 제약사 '다이꾜신약'에서 만든 약으로 이 약의 가능성을 알아본 동성제약의 창업주 故 이선규 회장이 다이꾜신약의 전 공장장을 찾아가 약의 원료와 배합 비율을 적은 비법을 가지고 와서 1972년 개발에 성공해 지금은 일본의 정로환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정로환은 러·일전쟁(1904-1905)과 관련이 있습니다. 러·일전쟁이 한창일 무렵, 러시아의 세력을 중국에서 몰아내고자 만주로 출정한 일본군들이 며칠 만에 죽어나가기 일쑤였는데 그 이유는 만주의 수질이 나빠서 생긴 설사에 있었습니다. 당연히..
연탄에는 구멍 수에 따라 십구 공탄(19), 이십이 공탄(22), 삼십이 공탄(32)등이 있습니다. 1980년 이전에는 가정용은 19, 31공탄, 업소용은 49공탄으로 생산되었으나 1980년 이후 22, 25, 19, 31공탄으로 규격이 통일되었고 현재 가정용으로는 구멍이 22개인 이십이 공탄(22)이 주로 사용됩니다. 구공탄이라는 뜻을 먼저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연탄'이라는 검색어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연탄(煉炭, briquette) 이란 무연탄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다른 탄화물을 분쇄 ·배합하거나 점결제(粘結劑)를 혼합해서 성형 ·건조시킨 원통형 고체연료로 공기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구공탄' 또는 '구멍탄'이라고도 한다. 이외에 연탄을 구공탄으로 부르게 된 재미있는..
"여보세요" 에서의 '여보' 의 어원은 '여기(此處)'의 '여' 에 '보다(視)' 의 어간 '보-'가 합쳐 "여기보오"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부부간에 "여보"라는 호칭도 여기서 나온 말이며 어간 '보-'는 1940년대까지 사용되었던 하오체였으며 이후 1960년대에 당시 서울에서 유행했던 '-세요(해요체)' 가 덧붙여진 말입니다. 여기서 쓰인 "∼(으)세요" 는 현 '표준어 규정'이 나오기 전에는 비표준어로 처리된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1989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표준어 규정'(26항) 에서 이를 "∼(으)셔요" 와 함께 복수 표준어로 처리함으로써 이제는 떳떳한 표준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보세요"를 굳이 해석하자면 "여기 좀 보세요"정도가 되겠네요. 우리나라에 전화기가 처음 들어온 때는 189..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