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현왕후'가 안타까운 죽음을 맞았습니다. NBC 월화드라마 '동이'에서 인현왕후(박하선 분)는 진심통(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치열한 삶을 안타깝게도 접고 맙니다. 인현왕후는 마지막 의식이 깨어났을 때 세자(경종)의 비밀을 안고 있는 내의녀를 숨겨 놓은 곳을 알려주고, 동이와 연잉군을 보호하기 위해 사력을 다하며 숙종(지진희)에게도 이들을 부탁하는 온화함을 잃지 않고 최후를 맞아 시청자들의 심금을 울렸는데요. 35세라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등지고만 인현왕후, 그 치열한 삶을 마지막으로 조명합니다.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 민씨는 현종8년(1667) 민유중의 딸로 태어납니다. 그녀가 태어날 때 집안에 광채가 났다고 하며 출산 직후에 향긋한 향기가 났다고 전해집니다. 또한, 그녀의 큰아버지는 그녀가 아름답고 착하..
29일 방송된 MBC 드라마 '동이'에서는 숙종의 파격적인 조치로 갑자기 후궁의 자리에 오르게 된 동이(한효주 분)의 모습이 방영되었습니다. 이는 인현왕후의 폐위와 관련, 내수사의 비리 증험을 가지고 입궐한 동이를 둘러싸고 위기의식을 느낀 남인들과 장옥정이 세밀한 조사를 위해 동이를 내어달라고 임금을 향해 호소한데서 비롯되었는데요. 이른감이 있지만 숙종의 조치로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승은상궁으로 또 한번 신분상승을 하게되는 동이. 그녀가 바로 실제 역사 속 숙종이 마지막까지 가장 총애했던 여인이며 영조의 어머니이기도 한 숙빈 최씨입니다. 숙빈 최씨는 미천한 출생으로 그녀에 대한 기록은 숙종에 의해 후궁이 되면서부터 확인되고 그 이전의 기록은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설화에 의하면 1670년(현종 11..
31일 오후 방송된 MBC 월화 드라마 '동이'에서 숙종(지진희)의 오해로 인현왕후가 폐비 되는 과정이 방송되었습니다. 장희빈 측의 계략으로 대비가 병을 얻고 급기야 사망하자 이 모든 사건의 배후에 인현왕후가 있다 오해한 숙종(지진희 분)의 명으로 인현왕후는 폐서인(廢庶人)되어 궁을 떠나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 역사 속 인현왕후의 폐위는 대비의 사망사건과 아무 연관이 없습니다. 앞선 포스트에서 언급했듯이 드라마 상 대비의 사망시기는 너무 늦은 감이 있습니다. 장옥정이 대비 때문에 궁에서 쫓겨나고 대비가 죽고 나서야 다시 숙종의 품에 안겼으며 얼마 후 숙원에 봉해지고 아들 균(훗날 경종)을 낳게 되죠. 바로 인현왕후는 붕당 정치의 소용돌이 속에서 숙종과 장옥정의 자식 균(훗날 경종)의 원자 책봉이 원인이..
MBC 월화 드라마 '동이'에서 동이가 장악원 여비에서 감찰부 궁녀로 파격적인 출세를 하면서 드라마는 숙종을 둘러싼 세 여인 (장희빈, 인현왕후, 동이)의 경쟁구도로 돌입하고 있습니다. 조선의 제19대 왕(1674~1720)으로 재위 기간 극에 달했던 노론·소론의 당쟁을 이용하여 양 난 이래 손상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하고 신권에 대한 왕권의 우위를 확보하려고 계산할 할 만큼 치밀했으며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입니다. 신하들에겐 엄격한 군주였으나 여인들에게 다정다감했던 숙종은 숙원 장씨(장희빈)를 총애하여, 서인들이 이를 반대하자 송시열 등을 유배시키고 왕비였던 인현왕후를 폐위하고 장씨를 왕비로 책봉하는 실수를 범합니다. 붕당정치가 절정을 이루던 시절, 나라를 피비린내나는 환국의 소용돌이로 몰았지만, 여인들 ..
20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동이' 10회에서는 감찰부로 끌려간 동이(한효주 분)를 위해 장옥정(이소연 분)은 사실을 직접 밝히겠다며 나서고 결국, 인현왕후 시해의 모함을 받고 의금부로 사건이 넘어가기 직전으로 상황은 위급하게 전개됩니다. 이에 동이는 천민인 자신을 위해 임금의 승은을 입은 특별상궁 장옥정의 배려에 목숨을 걸고 그 배후를 쫓습니다. 드라마에서 동이는 이제 장옥정의 사람입니다. 장옥정 또한 천민이지만 영민한 동이를 자신의 소중한 사람으로 받아들일 작정이고요. 하지만, 훗날 숙빈최씨가 되는 동이와 장희빈으로 알려진 장옥정의 드라마틱(?)한 운명적인 인연은 그야말로 드라마의 극적 전개를 위한 허구일 뿐입니다. 요염함과 명석함을 겸비한 장옥정은 남인에 의해 궁녀로 입궁하게 되고 얼마 후 숙..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