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국선 문노가 주관해 화랑의 수장 15대 풍월주를 뽑는 비재중 1,2차에이어 하일라이트인 무술대결을 벌이는 3차 비재가 예고되면서 끝이 났는데요. 여기서 김유신(엄태웅)과 미실의 아들인 보종(백도빈)의 마지막 대결이 점쳐지는 가운데 과연 15대 풍월주의 주인은 누가 될지 많은 관심을 갖기에 충분했습니다. 13대 용춘공 (578년 - ?, 풍월주 596년 - 603년) 14대 호림공 (579년 - ?, 풍월주 603년 - 609년) : 드라마속 현재 풍월주 15대 유신공 (595년 - 673년, 풍월주 609년 - ?) : 김유신, 김서현과 만명의 아들 16대 보종공 (? - ?, 풍월주 ? - 621년) : 미실과 설원랑의 아들 위처럼 15대 풍월주는 김유..
MBC 월화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드라마 초반 화랑의 주인인 원화로 있던 미실이 지금은 그 자리를 천명공주에게 내어 주었습니다. 신라의 정신인 화랑의 주인이었던 그녀가 물러나게된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 원화제도의 시작 신라가 국가의 틀이 잡히기 시작할 무렵 젊은 인재의 등용이 필요하였는데요.진흥왕이 7세의 어린나이로 왕이되자 어미인 지소태후가 섭정을 하게 되는데 이때 그며가 왕에게 원화제도를 만들것을 제안합니다. 그리하여 두명의 어여쁜 여성을 원화로 삼아 300여 명의 젊은이들을 거느리게 하여 그들 중 필요한 인재를 등용하려고 하였는데 제1대 원화는 삼산공의 딸 준정이라는 여자였습니다. 문제는 원화제도를 제안한 지소 태후가 준정보다는 미진부의 아내 남모를 총애한것인데요. 남모는 법흥왕과 보과 부인..
14일 방영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이 유신을 회유를 하려 하자 '자신을 죽여서 그 시신을 가지는 것 외에 미실이 자신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미실과 대립하는 장면이 나왔는데요. 문제는 미실이 생존하던 시절 풍월주를 역임한 거의 모든 화랑들이 미실의 사람들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미실의 측근이 아니고는 풍월주가 되기 불가능했던 그 시절에 이렇게 미실과 대립했던 김유신이 어떻게 15대 풍월주가 될 수 있었나 하는 것입니다. 먼저 미실의 첫사랑 사다함부터 역대 풍월주에 대해 알아봅니다. 5대 사다함 (547년 - 564년, 풍월주 ? - ?) 6대 세종 (? - ?, 풍월주 ? - ?) : 독고영재 분 (미실의 남편) 7대 설화랑 또는 설원랑 (? - ?, 풍월주 ? - ?) : 전노민 ..
MBC 드라마 '선덕여왕' 22일 방영분에서는 성인이된 덕만과 서라벌에 입성한 김유신(엄태웅 분)이 이끄는 용화향도가 '서라벌 10화랑'과 대립구도를 선보이며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켰습니다. 신라의 화랑도는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고 있었는데 화랑도는 화랑·낭두·낭도로 이루어졌으며 화랑도와 관련된 여자로서 화주·봉화·유화 등이 있었습니다. 낭두 : 화랑과 낭도 사이에 위치한 화랑도의 중간 세력 집단으로 화랑도 조직 중 화랑이 아닌 낭도 중 우두머리를 낭두라고 하였는데 그들이 일정한 세력집단으로 되어 화랑도의 낭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점차 그 지위를 확대하여 나갔다. 원래 낭두는 상선과 상랑의 마복자들 만이 될 수 있었다. 낭두에는 원래 7급이 있었는데 22세 양도공이 9급으로 늘렸다. 낭도 : 일반 서민들로 ..
MBC 새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의 초반 줄거히는 화랑세기에 언급된 미실(고현정 분)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드라마 시작시에도 화랑세기를 참고하였다고 자막으로 알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실이에 대해 처음 언급된 역사서 '화랑세기는' 어떤 책일까요? 아직도 진위여부에 논란이 되고있는 '화랑세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화랑세기(花郞世記)'는 신라시대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신라 성덕왕의 제위기간 (702년 - 737년) 사이에 쓰여진것으로 전해져오지만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서술할 때까지 남아 있었으나 김대문이 지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있었습니다. 그러다가 1989년, 남당 박창화가 일본 천황가의 보물창고인 정창원에서 필사했..
신라시대에는 대원신통이라는 '왕에게 색을 제공하는 전문여성집단'이 있었는데 미실또한 이 집단의 일원으로 할머니인 옥진으로부터 방중술을 배워 3명의 임금(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과 태자(동륜)등을 유혹하여 왕실을 좌지우지하였습니다. [대원신통] 왕 등과의 혼인을 하는 여자를 공급하는 계통으로 인통(姻統)이라고 한다. 『화랑세기』에 나오는 인통은 진골정통과 대원신통이 있다.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였으며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인통의 계승은 완벽하게 모계 계승으로 이러졌는데 남자들은 한 대에 한하여 어머니의 계통을 따라 대원 신통이 되기도 하였다. 대원 신통은 화랑도 중 화랑과 낭도의 파를 나누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 다음 백과사전- 그것도 모자라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