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殿下)는 왕을 높여 부르는 말로 왕보다 낮은 사람들이 왕을 부를 때 쓰던 명칭입니다.
반대로 왕보다 높은 상왕(上王)이나, 삼전 어른들(대왕대비,왕대비,대비)은 왕에게 주상(主上)이라 부릅니다.
전하(殿下)라는 호칭은 왕비에게도 적용됩니다만 조선시대에는 여왕이 없었기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왕에게만 해당되는 호칭으로 잘못알고있습니다.
또한, 전하(殿下)는 별로 기분 좋은 호칭이 아닙니다. 왕을 칭할때 황제의 나라에서는 폐하(陛下) , 제후국(황제가 다스리는 나라)에서는 전하(殿下)라고 했으니 말이죠. 우리 나라는 고려시대까지는 임금을 폐하(陛下)라고 했지만, 중국에 조공을 바치게 된 이후 폐하(陛下)를 쓰지 못하고 전하(殿下)라고 하게 되었습니다.
저하(邸下)는 왕세자(王世子) 또는 왕세손(王世孫)을 높여 부를 때 쓰던 명칭으로 저(邸)는 '집 저'자로 귀인이 사는 집은 다른 집보다 땅을 돋아서 짓는 관례가 있고, 하(下)는 곧 돋아진 땅보다 낮은 곳(곧 아래)에서 뵈어야 하는 분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참고로 영조비 정순왕후가 정조의 후궁 수빈박씨를 어여삐 여겨 그녀에게 수빈저하라 존칭하도록 명을 내렸으나 효의왕후를 생각한 정조가 이를 거절한 적도 있답니다.
전하(殿下)외에 상감(上監)과 주상(主上)이라는 호칭도 있습니다.
상감(上監 : 위상, 살필감) : 가장 높은 곳에서 백성을 살피는 사람이라는 뜻. 일반적인 호칭
주상(主上 : 주인주, 위상) : 백성의 주인으로서 가장 높은 분이라는 뜻. 대비나 왕비가 친근하게 부를 때 호칭
상감(上監 : 위상, 살필감) : 가장 높은 곳에서 백성을 살피는 사람이라는 뜻. 일반적인 호칭
주상(主上 : 주인주, 위상) : 백성의 주인으로서 가장 높은 분이라는 뜻. 대비나 왕비가 친근하게 부를 때 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