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드라마 ‘선덕여왕’ 20일 방소분에서는 진흥대제가 남긴 소엽도의 진실을 캐다가 자신들 출생의 비밀을 알아가는 쌍둥이자매 덕만과 천명공주의 활약이 방영되었는데요. 천명은 자신의 탄생일에 있었던 사건과 어린 시절 남동생들이 연이어 죽었을 때 어미가 언급한 '어출쌍생(御出雙生) 성골남진(聖骨男盡)'을 떠올리게 됩니다. 드라마 선덕여왕의 중요한 키워드 '어출쌍생(御出雙生) 성골남진(聖骨男盡)'은 무엇일까요? '어출쌍생(御出雙生) 성골남진(聖骨男盡)'은 '왕이 쌍둥이를 낳으면 성골(왕족) 남자의 씨가 마른다.'라는 뜻으로 드라마 속에서는 '박혁거세의 저주'라 해도 될 만큼 이 문장이 하나가 드라마 전체의 내용을 쥐고가는 엄청난 힘을 가진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일반적으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부터 진덕여왕까지..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진평왕은 사위이자 사촌동생인 용수(박정철 분)의 태자 책봉을 명했습니다. 하지만, 천명공주의 남편인 용수는 아버지인 진지왕이 폐위되며 성골에서 진골로 족강(族降:신분이 낮아짐)이 된 터라 화랑들은 진골이 태자가 되는 것을 반대합니다. 이에 용수는 전투의 선봉에 서서 큰공을 세우고 이를 무마하려 했지만 결국 미실의 계략으로 천명공주의 곁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되는데요. 도대체 신라시대의 신분인 성골과 진골에는 어떤 차이가 있었던 것일까요? 골품제도는 혈통의 존비(尊卑)에 따라 정치활동에서 사회생활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주어지는 제도로서 성골(聖骨)·진골 및 6~1두품(頭品)까지 모두 8개의 신분층으로 구성되어있었는데요.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
덕만(선덕)과 천명은 진평왕과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삼국유사'와 '화랑세기'에는 천명이 장녀라고 하고, '삼국사기'에는 덕만이 장녀라고 하여 어느 쪽이 사실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덕만공주과 천명공주는 친자매간임은 분명합니다.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이 두 공주의 동생이 서동요의 주인공 선화공주라는 설도 있습니다) '선덕여왕'이 '화랑세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다룬 드라마이므로 '화랑세기'에 언급된 이 두형제의 이야기를 근거로 다시 설명합니다. 천명공주 역시 진평왕의 왕위를 계승할 권리가 있었으나 덕만이 더 총명했던 탓에 동생에게 왕위를 양보해야만 했다 전해집니다. 진흥왕은 동륜과 금륜 두 왕자를 두었는데 동륜의 아들이 덕만과 선덕의 아비인 진평왕이며 금륜의 아들이 김용수와 김용춘입..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