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드라마 '선덕여왕' 11일 방송분에서는 이미 예고된 바처럼 덕만의 언니 천명공주가 화랑 대남보의 독화살을 맞고 최후를 맞는 장면이 방영되었습니다. (드라마에서는 대남보가 미실의 동생인 미생랑의 아들인 것처럼 등장하지만 실제 대남보는 김용춘의 사람으로 대남보를 등용한 것도 김용춘이었습니다. 당시 대남보는 골품이 없던 미천한 신세로 이를 무시하고 자신을 등용한 김용춘의 은혜에 충심으로 그를 섬기게 된 것이죠.) 본론으로 들어가서 드라마에서처럼 천명공주가 덕만 보다 먼저 사망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삼국사기에는 진평왕의 장녀가 덕만(선덕여왕)이나 드라마의 모티브가 된 화랑세기에는 천명공주가 덕만의 언니로 나옵니다. 또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김용수(박정철 분)와 김용춘을 한 인물로..
신라시대에는 인통이라하여 왕비를 배출하는 왕비를 배출하는 가문과 혈족이 있었는데 진골정통(眞骨正統)과 대원신통(大元神統)이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진골정통은 옥모를 기원으로 미실의 남편인 세종의 어미인 지소태후로 대표되며,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여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인통을 얘기하기에 앞서 색공에 대해 먼저 얘기해야 하는데요. 색공[色供]이란 신분이 높은 사람에게 색을 바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신라에는 여자가 남자에게 색을 바치는 것 외에도 남자가 남자에게 색공을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색공[色供]을 유교적인 관점에서 문란하다 보기이전에 적어도 신라에서는 이를 사회적 정치적 관계를 확대해 나가는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는 것입니다. 마복자란..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은 화랑세기에 등장한 미실과 선덕여왕, 화랑들의 이야기를 드라마화 한 것으로 배우들의 호연과 탄탄한 줄거리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6일 방영분이 끝나고 예고편에서는 덕만(훗날 선덕여왕)의 어린시절 이야기가 끝나고 성인이된 덕만과 천명, 김유신의 모습을 잠깐 볼 수 있었는데요. 지금까지 미실이 권력을 잡게된 배경과 덕만과 천명의 출생의 비밀, 그리고 이들 주변인물의 대립구도를 소개했다면 다음회부터는 본격적으로 성인이 된 덕만, 천명과 미실과의 대결, 그리고 김유신과의 사랑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될 듯합니다. 하지만, 드라마의 모티브가 된 화랑세기의 진위논란이 지금까지도 있는 가운데 화랑세기에서 조차 확인되지 않은 여러 이야기들이 작가의 무한한 상상력을 통해 양산되고 ..
MBC 새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의 초반 줄거히는 화랑세기에 언급된 미실(고현정 분)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드라마 시작시에도 화랑세기를 참고하였다고 자막으로 알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실이에 대해 처음 언급된 역사서 '화랑세기는' 어떤 책일까요? 아직도 진위여부에 논란이 되고있는 '화랑세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화랑세기(花郞世記)'는 신라시대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신라 성덕왕의 제위기간 (702년 - 737년) 사이에 쓰여진것으로 전해져오지만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서술할 때까지 남아 있었으나 김대문이 지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있었습니다. 그러다가 1989년, 남당 박창화가 일본 천황가의 보물창고인 정창원에서 필사했..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