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魚)자는 한자에서 물고기를 뜻하는 물고기어(魚)를 사용한 것이고, 치자는 옛 우리말에서 물고기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다시 말해 우리말에서 치자로 끝나는 물고기라도 한자로는 대부분 어(魚)자가 들어간다는 얘기입니다. 갈치와 멸치를 한자로 각각 도어(刀魚)와 약어(弱魚)로 적는 것이 좋은 예입니다. 문제는 한자와 한글을 혼용해서 사용하는 한국에서 '어'와 '치'를 구분하는 것인데요. 그 이유가 안타깝게도 뿌리깊은 사대주의 사상의 결과물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어”字가 붙는 물고기는 비늘이 있는 물고기이고, “치”字가 붙는 물고기는 비늘이 없는 물고기를 말하는 것인데요. 일반적으로 비늘이 있는 “어”字가 붙는 물고기가 치”字가 붙은 물고기보다는 고급 어종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은 한글을 언..
세종시 수정과 관련,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가 이를 반대하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대표를 '미생지신(尾生之信)'에 비유해 논란을 일으키자 박 전대표의 지지모임인 박사모에서 정 대표를 '이목지신(移木之信)'으로 반격하고 나서면서 이 두가지 사자성어가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요. '미생지신(尾生之信)'과 '이목지신(移木之信)'의 유래를 알려드립니다. 1. 미생지신(尾生之信) 미생이란 사람의 믿음이란 뜻으로, 미련하도록 약속을 굳게 지키는 것이나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 尾 : 꼬리 미 生 : 날 생 之 : 어조사 지 信 : 믿을 신 춘추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사랑하는 여자와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기다렸으나 여자가 오지 않자 소나기가 내려 물이 밀려와도 끝내 ..
1. 더하기 [+] 13세기경 레오나르도 피사노(이탈리아 수학자)가 7더하기 8을 '7과 8'로 썼는데, 라틴어로 '과'를 et라고 쓰는 데 이것을 필기체로 빨리 쓰면 +가 되어 "+" 기호가 만들어 졌습니다. 2. 빼기 [-] 1489년 비드만(독일의 수학자)이 '모자란다'라는 라틴어 단어 minus 의 약자 -m에서 -만 따서 쓰게 되므로 생겨났습니다. 또 다른설로 선원이 물통의ㅣ 뭉의 양을 체크하기 위해 사용한 - 표시로부터 유래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3. 곱하기 [×] 처음 사용한 사람은 영국의 월리엄 오오트렛이 1631 년 "수학의 열쇠"라는 책에서이 기호를 처음 사용하였는데요. 십자가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4. 나누기 [÷] 이 기호는 오랜 옛날부터 쓰여왔고, 10세기 경..
2009년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선정됐다고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9일 발표했습니다. 노벨위원회는 오바마 대통령이 국제무대에서 탁월한 외교적 능력을 발휘했고 세계 민주주의 증진과 인종·종교 간 장벽을 넘는 계기를 만들었다며 선정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은 1906년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시작으로 모두 4명의 전 현직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인권 향상과 남북관계의 진전에 기여한 공로로 한국인 최초로 노벨상을 받기도 했는데요. 1901년부터 지금까지 노벨평화상을 받은 세계 각국의 대통령들을 소개합니다. ■ 1906년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 대기업과 노동조합 사이의 쟁의에 직면하여 대통령 및 연방정부의 권한을 강화함으..
캐논 주식회사(일본어: キヤノン株式会社 Kyanon Kabushiki Gaisha[*], Canon Inc.)는 영상 및 광학 기기에 특화된 일본 회사로 주요 제품으로는 사진기, 캠코더, 렌즈, 복사기, 프린터, 반도체 노광장치 등이 있습니다. 회사명인 캐논은 1933년 회사의 전신인 정기광학연구소에서 출시한 첫 카메라 시제품의 이름인 칸논에서 유래되었으며, 칸논(KWANON)은 불교에서 등장하는 관음(観音, かんのん)을 이야기하는데요. 관음보살의 자비에 힘입어 세계 최고의 카메라를 만드려는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으며 당시의 마크는 천수관음보살을 그려넣고, 화염광배(火焰光背)의 모양을 본떠 KWANON이라는 글자를 디자인해 넣은 형태였습니다. 정기광학연구소 창업자 중의 한 명인 요시다 고로는..
배탈 설사를 위해 태어난 약인 정로환은 1972년 국내에 첫선을 보인 이래 3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배탈,설사 상비약의 대명사로 인식될 정도로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로환은 원래 일본의 제약사 '다이꾜신약'에서 만든 약으로 이 약의 가능성을 알아본 동성제약의 창업주 故 이선규 회장이 다이꾜신약의 전 공장장을 찾아가 약의 원료와 배합 비율을 적은 비법을 가지고 와서 1972년 개발에 성공해 지금은 일본의 정로환보다 더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 정로환은 러·일전쟁(1904-1905)과 관련이 있습니다. 러·일전쟁이 한창일 무렵, 러시아의 세력을 중국에서 몰아내고자 만주로 출정한 일본군들이 며칠 만에 죽어나가기 일쑤였는데 그 이유는 만주의 수질이 나빠서 생긴 설사에 있었습니다. 당연히..
모르는 사람들과 엘리베이터에 함께 탔을 때 대부분은 침묵한 채 시선을 엘리베이터 위의 층수 표시에 둡니다. 심리학에 의하면 모든 사람은 자신의 몸을 중심으로 반경 1~2미터 정도의 퍼스널 스페이스(personal space)를 가지고 있는데 이 범위에 타인이 들어오면 스트레스를 받고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 합니다. 엘리베이터의 좁은 공간에서 이 불안감 또는 불쾌감을 감추기 위해 많은 사람이 시선을 층수 표시에 두는 것입니다.
17세기 노예로서 버지니아에 처음 도착한 흑인, 1776년 미국 건국 당시 전체 인구의 19%(현재는 12%)에 달했던 이들은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1863년)이 있던 당시에도 남부지역 신문광고엔 흑인 노예, '니그로' 를 사고팔겠다는 광고가 버젓이 등장했습니다. 따라서 링컨의 노예 해방 선언은 100년이 지나도 선언에 불과했으며 노예들의 노동력에 의지해야만 했던 남부지방의 인종차별은 날로 극심해져 백인이 출입하는 학교, 병원 등 공공장소에서 흑인은 얼씬도 할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20세기 초 남부의 차별을 피해 흑인들은 대규모로 북부와 서부로 이동하는, 이른바 '대이주(the Great Migration)' 현상이 있었으며, 앞서 언급한 학교, 병원 등 공공장소에서 백인과 유색인종을 분리하는 소..
연탄에는 구멍 수에 따라 십구 공탄(19), 이십이 공탄(22), 삼십이 공탄(32)등이 있습니다. 1980년 이전에는 가정용은 19, 31공탄, 업소용은 49공탄으로 생산되었으나 1980년 이후 22, 25, 19, 31공탄으로 규격이 통일되었고 현재 가정용으로는 구멍이 22개인 이십이 공탄(22)이 주로 사용됩니다. 구공탄이라는 뜻을 먼저 인터넷 백과사전에서 '연탄'이라는 검색어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연탄(煉炭, briquette) 이란 무연탄을 주원료로 하여 여기에 다른 탄화물을 분쇄 ·배합하거나 점결제(粘結劑)를 혼합해서 성형 ·건조시킨 원통형 고체연료로 공기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구공탄' 또는 '구멍탄'이라고도 한다. 이외에 연탄을 구공탄으로 부르게 된 재미있는..
두문불출(杜門不出)은 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하거나 집에서 은거하면서 관직 또는 사회의 일을 하지 않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두문불출(杜門不出)은 두문동이라는 지명과 관련된 것으로 두문동은 지금의 경기도 개풍군 광덕산 두문동을 이야기합니다.(개성 북쪽 만수산 아래 있는 동네라는 설도 있음) 원래 두문불출(杜門不出)은 무력으로 왕권을 찬탈한 태조 이성계를 비판하는 의미로 고려의 충신 72명이 두문동에 들어가 마을의 동, 서쪽에 모두 문을 세우고 빗장을 건 뒤 나가지 않았다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두문(杜門)’이란 말은 ‘문을 닫다’ 또는 ‘문을 막다’라는 뜻입니다. 고려왕실의 후예나 충신들은 새 왕조에 힘으로 대항하기 보다는 낙향을 하거나 산골로 들어가 조선을 섬기지 않는 간접적 저항을 하였는데 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