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방영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국선 문노를 암살하기위해 설화랑(전노민 분)의 아들 보종이 화랑을 이끌고 문노가 있다고 알려진 절에가서 그곳의 승려들을 제거하지만 문노를 찾는데는 실패하죠. 이때 우연히 만난 천명과 덕만을 쫓아가다 매복해있던 임종의 무리들에게 공격을 받고 보종은 심한 부상을 입는데요. '선덕여왕'에 등장한 꽃화랑 보종과 임종에 대해 알아 봅니다. ■ 미실이 총애했던 아들, 보종 보종공은 설화랑과 미실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보종공의 아버지 설원랑은 출신이 미천하여 미실에게 붙어 낭도들을 많이 거느릴 수 있었는데 이 때문에 드라마에서는 미실의 보디가드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이죠. 미실은 자신의 아들인 보종을 각별하게 생각했는데요. 보종의 신분이 미천한 것을 염려하여 양명공주와 ..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진평왕은 사위이자 사촌동생인 용수(박정철 분)의 태자 책봉을 명했습니다. 하지만, 천명공주의 남편인 용수는 아버지인 진지왕이 폐위되며 성골에서 진골로 족강(族降:신분이 낮아짐)이 된 터라 화랑들은 진골이 태자가 되는 것을 반대합니다. 이에 용수는 전투의 선봉에 서서 큰공을 세우고 이를 무마하려 했지만 결국 미실의 계략으로 천명공주의 곁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되는데요. 도대체 신라시대의 신분인 성골과 진골에는 어떤 차이가 있었던 것일까요? 골품제도는 혈통의 존비(尊卑)에 따라 정치활동에서 사회생활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특권과 제약이 주어지는 제도로서 성골(聖骨)·진골 및 6~1두품(頭品)까지 모두 8개의 신분층으로 구성되어있었는데요. 성골과 진골(聖骨—眞骨)은 신라시대의 신분..
MBC 새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의 초반 줄거히는 화랑세기에 언급된 미실(고현정 분)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드라마 시작시에도 화랑세기를 참고하였다고 자막으로 알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실이에 대해 처음 언급된 역사서 '화랑세기는' 어떤 책일까요? 아직도 진위여부에 논란이 되고있는 '화랑세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화랑세기(花郞世記)'는 신라시대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신라 성덕왕의 제위기간 (702년 - 737년) 사이에 쓰여진것으로 전해져오지만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서술할 때까지 남아 있었으나 김대문이 지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있었습니다. 그러다가 1989년, 남당 박창화가 일본 천황가의 보물창고인 정창원에서 필사했..
신라시대에는 대원신통이라는 '왕에게 색을 제공하는 전문여성집단'이 있었는데 미실또한 이 집단의 일원으로 할머니인 옥진으로부터 방중술을 배워 3명의 임금(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과 태자(동륜)등을 유혹하여 왕실을 좌지우지하였습니다. [대원신통] 왕 등과의 혼인을 하는 여자를 공급하는 계통으로 인통(姻統)이라고 한다. 『화랑세기』에 나오는 인통은 진골정통과 대원신통이 있다.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였으며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인통의 계승은 완벽하게 모계 계승으로 이러졌는데 남자들은 한 대에 한하여 어머니의 계통을 따라 대원 신통이 되기도 하였다. 대원 신통은 화랑도 중 화랑과 낭도의 파를 나누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 다음 백과사전- 그것도 모자라 ..
신라시대에 3명의 임금(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과 태자(동륜), 화랑의 우두머리인 풍월주 4명(사다함,세종,설화랑,미생랑) 등 무려 8명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왕실을 좌지우지했던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미실입니다. 미실(고현정 분)의 어머니는 신라 최고의 미남이었던 위화랑의 외손녀인 묘도이고, 아버지는 신라 최고의 미인이었던 벽화의 외손자 미진부이다. 재미있는 건 위화랑과 벽화는 친남매간이었으므로 결국 이들은 자기들의 외손자와 외손녀를 혼인시켜 미실을 낳았던 것인데, 미실 역시 대단한 미인이었던 것입니다. 신라시대에는 대원신통이라는 '왕에게 색을 제공하는 전문여성집단'이 있었는데 미실또한 이 집단의 일원으로 할머니인 옥진으로부터 방중술을 배웠다 전해집니다. 다음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미실에 관한 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