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방송된 KBS 1TV 주말드라마 '근초고왕'에서는 부여준(계왕: 한진희)이 수탄성으로 향해 부여구를 만나는 모습과 함께 해비(최명길)가 비류왕의 조서를 찾아 아들인 태자 부여찬(이종수)에게 향하다 부여구(감우성)에게 잡히는 장면이 그려졌습니다. 부여준이 부를 만나기 위해 떠난 사이 한성에서는 부여준의 장남이 주도하여 해비(최명길)를 살해하려 했지만 이를 문치 챈 해비는 부여준이 가지고 있던 비류왕의 조서를 찾아 한성을 탈출하게 됩니다. 해비(최명길)가 소해비를 해하면서까지 찾으려 했던 비류왕의 조서에는 '자신(비류왕)의 뒤를 부여구에게 물려주고, 자신이 죽은 후 벌어진 왕자 간의 왕위 쟁탈전을 우려해 무리한 판단으로 전쟁에서 병사 4,000 을 잃게 한 죄를 물어 태자인 여찬을 사사시키라'는 ..
KBS 1TV 대하드라마 ‘근초고왕’이 무대를 중국으로 넓히며 본격적인 왕위 계승의 물밑작업과 함께 이를 같이할 이른바 근초고왕 서포터즈를 만나기 시작하였습니다. 비류왕을 시해했다는 누명을 쓴 부여구(감우성 분)는 백제땅을 떠나 중국 요서지방으로 추방됩니다. 하지만, 백제를 떠나기 직전 기다리고 있던 해건(이지훈)과 부여산(김태훈) 일행에게 붙잡히고, 결국 부여구는 일월검을 해건에게 빼앗기고 바다에 수장될 위험에 몰리게 됩니다. 이때 부여국의 재건을 노리는 단범회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위기에서 벗어나지만 단범회의 요새에서 탈출하기 위해 수장인 위비랑(정웅인)의 여동생인 위홍란(이세은)을 인질호 붙잡고 탈출을 시도하게 되는데요. 드라마에서 단범회는 고구려 대무신왕에 패망한 동부여의 왕족 위비랑(정웅인 ..
5일 방송된 KBS 대하드라마 '근초고왕' 에서 비류왕(윤승원 분)은 백제를 위해 부여구(감우성)을 후계자로 결정하고 태자인 여찬(이종수 분)을 자결시킬 결단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를 알게 된 부여준(한진분)과 해비(최명길 분)의 결탁으로 비류는 독살을 당하고 마는데요. 지난 40여 년간, 비류왕에게 빼앗긴 어라하 자리를 되찾기 위해 절치부심했던 위례궁주 부여준은 비류왕의 최후를 지켜보다 비류가 조상에게 남긴 유지를 빼앗아 자리를 떠나고, 부여준이 떠난 자리에서 홀로 죽음을 맞이하던 비류왕은 여구(감우성 분)에게 백제를 부탁하며 끝내 최후를 맞게 된 것이죠. 비류왕의 죽음은 태자인 여찬에게는 그야말로 기회였습니다. 태자는 부여준과 결탁하여 그를 옹호한는 진씨세력의 군사 행동을 견제하고, 진비(김도연..
KBS가 야심 차게 기획한 삼국시대 3대 영웅군주 연작 드라마의 첫 번째인 '근초고왕'이 드디어 11월 6일 첫 선을 보입니다. '근초고왕'은 근초고왕이 궁에서 중국 요서로 쫓겨난 왕자 시절부터 시작해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른 뒤 백제의 전성기를 이끄는 과정을 그리게 되는데요.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에 비길 만한 정복군주로 평가받는 인물이지만, 신라의 삼국 통일로 인해 묻혀 버린 백제의 영웅 '근초고왕'에 대해 소개합니다. ▣ 드라마의 배경 드라마 '근초고왕'은 백제 4대왕 '개루왕'에서 갈라진 고이왕계와 초고왕계(손자가 비류왕)의 대립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될 전망입니다. 백제는 5대왕 '초고왕'의 뒤를 이어 아들인 '구수왕'이 6대왕, '구수왕'의 아들 '사반'이 7대왕에 오르게 되며 장자계승원칙을 ..
종영까지 단 10회만 남겨둔 MBC 월화드라마 ' 선덕여왕' 24일 방송분에서는 유배를 간 유신이 선덕여왕의 명을 받고 백제군영에 들어가 백제가 대야성(지금의 합천)을 함락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요. 대야성(大耶城)은 백제와의 접경지대인 신라 서부의 군사 요충지로서 삼국 간의 항쟁이 격화되던 7세기에는 신라의 대백제방어에서 최전선 역할을 하기도 했던 곳입니다. 그렇다면 선덕여왕 시절 실제로 대야성은 백제에 함락당했을까요? 632년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세상을 떠나자 뒤를 이어 신라 최초의 여왕이 된 선덕여왕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주변국인 고구려와 백제의 침공이 잦았던 시대였습니다. 특히 백제와 신라 간의 대립은 그야말로 극한 양상을 띠고 있었는데요. 이런 극한 대립의 정점이 바로 김유신의 가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