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영을 한 회 앞둔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 21일 방송분에서는 선덕여왕이 자신을 죽이려 했다고 오해한 비담이 귀족들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고, 이에 선덕여왕은 배신감을 느끼며 비담을 역적으로 선포하며 '비담의 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장면이 방영되었습니다. 그 때 국사國事가 점차 어려워졌다. 공과 여러 낭두들이 낭도를 거느리고 친히 활 쏘고 말달리는 것을 익혔는데, 모인 자들을 선발하여 병부에 보충하였다.270) 공이 5년간 풍월주의 지위에 있는 사이에 낭정은 무사武事로 많이 돌아갔다. 선덕제의 병이 몹시 위독해지자, 비담(毗曇)과 염종廉宗이 모반을 하였다. 유신공이 신주新主272)를 받들어 전쟁을 독려하였다. 그 때 서울京師의 군대가 적어 공이 낭도를 모두 동원하여 먼저 그 진으로 돌격하였다. ..
14,15일 방송된 '선덕여왕' 에서는 알천에게 알리지 않고 의원을 불러 자신의 병을 가늠하는 덕만의 모습이 그려졌습니다. 덕만의 죽음이 암시되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실제 역사에서도 덕만의 삶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임에는 분명합니다. 비담(김남길 분)이 상대등에 오른게 645년이고 그가 난을 일을 켰을때가 647년이며, 선덕여왕은 이 비담의 난 중에 갑자기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진흥왕의 죽음이후 미실의 집권으로 몰락했던 왕권을 다시 강건하게 확립했던 인물이 태종 무열왕(김춘추)라면 이것의 초석을 다지기 시작한 것이 선덕여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선덕여왕 시절까지도 왕권확립의 기반을 닦기위한 그녀의 정책속에 많은 귀족들과의 잡음이 상당했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러한 귀족들의 중심에 서있던 인물이 상대..
mbc 월화 드라마 '선덕여왕' 12/8 방영분에서 선덕여왕은 사량부의 수장이던 비담을 상대등의 자리에 앉힘과 동시에 비담에게 편제돼 있는 사병을 병부에 귀속시키라고 명령합니다. 사랑과 권력의 두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은 셈이었죠. 그 전에 앞서 비담은 '선덕여왕 사후에는 일체 조정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맹약을 선덕여왕에게 바쳤습니다. 하지만, 비담에게 편제돼 있는 사병을 병부에 귀속하라는 선덕여왕의 명에 불만을 품고 있던 염종이 우연하게 비담과 덕만사이에 맹약이 오간 것을 알게 되고 미생(정웅인 분)과 하종(김정현 분)과 함께 계략을 꾸미고 맙니다. 바로 당나라 사신을 이용하는 것인데요. 당나라 사신은 당나라 황제 이세민이 "신국이 자주 침략을 당하는 것은 여자가 왕이기 때문"이라며 남자로 왕을 세울 ..
MBC 드라마 '선덕여왕' 16일 방영분에서는 미실의 우직한 충신으로 미실이 죽자 석품과 함께 미실의 마지막 유언을 거부하고 덕만을 죽이려다 장렬한 최후를 맞았습니다. 덕만은 미실의 세력을 규합하기위해 신국을 위태롭게 했던 반란을 '미실의 난'이 아닌 '칠숙과 석품의 난'으로 부르게하는데요. 과연 '칠숙과 석품의 난'은 실제로 존재했던 역사적 사건이었을까요? 드라마 초반 부터 미실의 그림자처럼 그녀를 호위하던 칠숙에 대해 많은 분들이 가상인물로 알고 있는데 사실 칠숙은 삼국사기에도 등장하는 실존인물입니다. 물론 덕만이 천명과 쌍둥이 자매가 아니었고 먼 이국땅으로 도망가 소화와 함께 어린시절을 보낸 사실 또한 허구이기에 미실의 명을 받고 이들의 쫓아간 칠숙의 활약 또한 드라마적 설정일 뿐입니다. 따라서 실..
신라시대에는 인통이라하여 왕비를 배출하는 가문과 혈족이 있었는데 진골정통(眞骨正統)과 대원신통(大元神統)이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진골정통은 옥모를 기원으로 세종(미실의 남편, 독고영재 분)의 어미인 지소태후와 만명(유신의 어머니, 임예진 분)의 어머니인 만호태후로 대표되며,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여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진골정통(眞骨正統)과 대원신통(大元神統)을 양통(兩統)이라 하며 드라마 '선덕여왕'의 모티브가 된 '화랑세기'는 '성골과 진골'의 골품보다 이 양통(兩統)을 비중 있게 다룬 것입니다. 이 중 가장 유명했던 인물이 바로 대원신통(大元神統)의 미실인 것이죠. 하지만, 신라를 쥐락펴락했던 여인이 미실 뿐만이 아니었으니 이번 포스트에서는 ..
사다함을 잃고 잠시 실의에 빠져있던 미실은 설원랑(전노민 분)을 만나게 됩니다. 설원랑은 사다함, 토함공과 더불어 동모이부(同母異父)관계로 미실은 설원랑을 통해 사담함을 추억할 수 있어 그를 가까이 두었으며 결국 연정으로까지 확대되면서 16대 풍월주가 되는 보종공까지 낳게되죠. 진흥왕대에 미실이 원화를 다시 부활시키자, 세종을 상선, 문노를 아선, 설원랑과 비보랑을 좌 ,우봉사화랑으로, 미생을 전방봉사화랑으로 삼았는데 동륜태자의 죽음으로 미실이 원화를 그만두게 되자. 세종이 다시 풍월주가 되었고 미실은 세종에게 같이 정계일선에서 물러나기 청하였습니다. 이에 세종은 설원랑에게 풍월주의 지위를 넘겨주고 미실과 더불어 여생을 보냅니다. 낭도들은 설원랑을 가문이 한미하다는 이유로 잘 따르지 않아 잦은 잡음을 내..
MBC 월화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을 척살하라'는 진흥왕의 칙서를 읽은 비담은 충격에 빠지고 자신을 버린 어머니 미실과 연모해온 덕만의 두 갈림길에 서게 되는데요. 드라마에서 비담은 미실의 숨겨둔 아들로 나옵니다. 진흥왕(이순재 분)이 죽고 미실의 계략으로 왕이 된 진지왕(임호 분)이 미실을 왕후로 들이지 않자 진지왕을 폐위시키며 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버리게 되는데 그가 비담이었습니다. 하지만, 드라마의 소재가 된 '화랑세기'에서 비담이 미실의 아들이라는 내용은 없으며 단지 24대 풍월주인 천광공편에 신국을 큰 혼란에 빠뜨리게 하는 반란의 주인공으로 등장할 뿐입니다. 그 때 국사國事가 점차 어려워졌다. 공과 여러 낭두들이 낭도를 거느리고 친히 활 쏘고 말달리는 것을 익혔는데, 모인 자들을 선발..
척살 [刺殺] : 칼 따위로 사람을 찔러 죽임 신라시대에 3명의 임금(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과 태자(동륜), 화랑의 우두머리인 풍월주 4명(사다함,세종,설화랑,미생랑) 등 무려 8명의 마음을 뺏고 왕실을 좌지우지했던 여인이 있었으니 바로 미실입니다. 미실은 특히 진흥왕(이순재 분)의 총애를 한몸에 받았는데요. 진흥왕의 후원에 힘입어 그녀는 화랑의 수장 원화와 새주(璽主)를 동시에 역임하게 되죠. 새주(璽主) : 옥새를 관장하는 임무를 가진 벼슬 하지만, 미실의 과욕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진흥왕의 아들인 동륜태자를 꾀어 아이를 임신했으며 동생인 미생랑(10세 풍월주)과 설화랑(7세 풍월주)마저 자신의 성 노리개로 만들었으며 미실과 설화랑 사이에서 보종까지 낳게 됩니다. 이제 드라마상의 줄거리를 기준으로..
MBC 월화 드라마' 선덕여왕'이 '미실의 난'으로 본격적인 왕위 쟁탈전이 시작되었습니다. 진평왕을 감금하고 옥새를 가로챈 미실은 덕만에게 누명을 씌워 '추포령'을 내립니다. 한편, 가까스로 화백회의장을 탈출한 유신은 덕만과 김춘추를 구하기 위해 모든걸 겁니다. 결국 마지막에 나타난 비담의 합세로 덕만과 춘추를 탈출시키는 데 성공한 유신은 성문을 다시 걸고 외로운 싸움을 계속하여 안타까움을 고조시켰습니다. 덕만을 놓친 미실이지만 오늘날의 계엄령에 해당하는'위국령'을 선포하기 위해 필요한 옥새를 칠숙을 통해 얻은 미실의 행보는 과연 어디까지인지, 미실의 난은 어떻게 진압될지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 유신 또 한명의 지원군을 만나다. 화랑세기에서는 미실이 아닌 칠숙이 석품(홍경인)과 함께 반란을 일..
미실파의 치밀한 사전 계략으로 화백회의장을 무력으로 침범한 유신, 이를 반역으로 간주하고 반역자를 진압한다는 빌미로 반란을 일으키는 미실. 드라마 ' 선덕여왕'은 미실 최후의 순간으로 조금씩 다가서고 있는데요. 하지만 완벽한 사전 계략으로 지금까지의 상황으론 도무지 미실의 패배가 예측되지 않는 것도 사실입니다. 바로 궁에서 미실의 반역음모가 조금씩 진행되는 동안 궁밖에선 상주정의 주진이 거느린 5,000명의 정예병사가 포진해 있기 때문인데요. 드라마에서는 주진(朱珍)이 필탄의 아버지로 등장합니다만 필탄을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아버지가 주진이라는 근거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필탄 (弼呑) 생몰년 : *(589?)~*(651?) 신라 선덕여왕 때의 장군. 관등은 각간(角干)이었다. 선덕왕 5년(636) 여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