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방송된 SBS 수목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19회에서는 한글을 반포하려는 세종에 분노한 정기준이 글을 인쇄 중이던 광평대군을 납치, 살해해 안방을 충격으로 몰아넣었습니다. 정기준은 세종과 불꽃튀는 논쟁을 벌이고 헤어진 후"백성이 글자를 익히면 삼강오륜을 쉽게 알 수 있고, 성리학에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는 이도의 말에 잠시 흔들립니다. 하지만, 광평대군을 납치하고 그에게서 세종이 처음 한글을 이용해서 만들려 한 것이 부처의 일대기임을 알게되고 크게 분노하는데요. 결국 정기준은 "글자를 아는 모든 사람을 죽일 것"이라며 수하에게 광평대군의 살해를 지시하고 광평은 짧은 갱을 마감하게 됩니다. 광평대군은 세종의 다섯째 아들로 1432년(세종 14) 광평대군으로 봉해지고 1436년에 신자수(申自守)의 ..
23일 방송된 SBS 수목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 채윤(장혁 분)은 밀본에 의해 납치되던 소이(신세경 분)와 광평대군(서준영 분)을 구하는 숨막히는 장면들이 연출되었습니다. 여기서 세종의 대의를 공격하는 채윤에게 광평대군은 자신의 목숨을 걸고 내기를 제안하는데요. 바로 세종이 광평대군의 목숨과 글자 중 무엇을 택하느냐에 대한 내기였습니다. 이 과정속에서 광평대군과 있으며 채윤은 한글의 실체에 대해 알게되고 채윤은 광평대군과 소이를 데리고 이도앞으로 가게 됩니다. 이처럼 채윤이 이도(한석규)에게 마음의 문을 열고 그의 수하가 되기까지는 이도의 아들 광평의 역할이 크게 작용을 하였습니다. 광평대군은 세종의 다섯째 아들로 1432년(세종 14) 광평대군으로 봉해지고 1436년에 신자수(申自守)의 딸과 혼..
10월26일 방송된 SBS 대기획 '뿌리깊은 나무'에서는 젊은 집현전 학자 성삼문(현우)과 박팽년(김기범)이 반촌 검안소에서 살해당한 집현전 학사의 허담과 윤필의 시신을 훔친 뒤 자신들의 몸에 새겨진 자문(문신)과 시신의 자문을 비교하는 장면이 방송을 탔습니다. 눈치 빠른 성삼문은 "분명히 우리가 모르는 일이 일어나고 있어"라고 얘기하고 자신들도 이들과 같이 죽임을 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입니다. 이후 음란서생으로 가장한 장성수의 수상한 행동에 성삼문은 그를 미행하고 그에게서 자신과 같은 문신을 발견, 같은 천지계원임을 확신합니다. 이때 성삼문은 “천지계원들이 죽어가고 있다. 이번에는 전하께서 은밀히 하는 일이 뭔지 꼭 알아야겠다. 우리 동료 학사들은 왜 죽었고 이제 누가 죽을지 알아야겠다”며 장성..
9일 방송된 SBS 수목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서는 강채윤(장혁)이 이방지의 정체를 알고 경악하는 장면이 방송되었습니다. 강채윤(장혁)에게 북방에서 자신의 옛이름 '똘복'을 아는 사람이 찾아옵니다. 하지만 그 사람은 곧 윤평(이수혁)에게 납치당했고 강채윤은 출상술로 사라진 윤평과 북방 사람이 남긴 흔적을 바탕으로 납치된 장소를 찾았지만 윤평이 날린 화살에 맞아 숨지고 마는데요. 이어 강채윤의 동료들도 이수혁과 함께 있던 사람을 잡아 오고 있다 한 괴한에 의해 그 사람이 나뭇가지로 심장을 관통당하며 즉사해 강채윤이 그 괴한의 실력을 보고는 엄청난 고수임을 짐작합니다. 이에 강채윤은 조말생(이재용 분)을 찾아가 밀본에 무술의 고수가 있냐고 넌지시 떠봤고 예전 정도전의 호위무사였던 진짜 조선제일검에 대해 ..
SBS 수목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는 훈민정음 반포일 이전 이레 동안 궁궐에서 벌어지는 참혹한 연쇄 살인의 이면에 감춰진, 우리 역사의 가장 위대한 프로젝트인 한글 창제 추진파와 이에 맞서는 반대파 사이의 대립과 음모를 치열하게 그려낸 소설로 조선의 성군 세종 이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실 사극인 '뿌리 깊은 나무'에서는 그동안 사극에서 잘 다루지 않았던 반촌(泮村)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가 눈길을 끄는데요. 지난주 방송에서는 밀본의 정도관이 이방원을 피해 숨어든 곳으로 등장했고, 19일 방송분에서는 의문의 죽음을 당한 집현전 학사 허담의 검안을 하기 위해 등장하는 가리온(윤제문) 이라는 조선 최고의 백정도 반촌에서 백정을 하는 인물로 나옵니다. 반촌(泮村)은 조선 시대 성균관(成均館)의 ..
6일 방송된 SBS TV '뿌리 깊은 나무 ‘에서는 아버지 이방원(백윤식)의 피바람에 아무것도 할 수 없던 유약한 왕 이도(송정기)가 마침내 자신의 목소리를 당당히 내는 장면이 연출되었습니다. 왕권강화를 위해 이도의 장인인 심 온을 포함한 수많은 외척과 공신들을 죽이는 아버지의 행동에 극심한 고뇌를 느껴야 했고, 결국 이방원과 맞서며 극심한 갈등을 유발한 것인데요. 드라마에서는 심온에게 밀서를 전달한 노비 아이 똘복을 죽이라는 아버지의 명령에 그는 따를 수 없다고 맞섰고 두 부자의 갈등은 폭발하게 됩니다. 급기야 이방원은 아들의 목에 칼까지 겨누었지만 이도는 숨 막히는 긴장감 속에서도 왕으로서의 위풍당당함과 기지를 발휘하고 누구를 위한 왕권강화인지에 대한 서로의 이견만 남기고 한밤의 소동은 끝이 납니다...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 12일 방송분에서는 김춘추(유승호 분)가 '골품제도'를 비판하며 왕권 투쟁에 나선 후 갑자기 염종을 시켜 보종의 딸인 보량을 납치합니다. 그리고 다음날 진평왕(조민기 분) 앞에 보량과 함께 나타나 "하룻밤을 같이 보냈다."며 "보량을 궁궐로 들이겠다."고 선언하는데요. 이 일로 인해 미실을 중심으로 견고한 결속력을 자랑하던 세종의 세력과 설원랑의 세력이 대립하고 맙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이 유신이 걱정한 두 번째 경우인 김용춘, 설원랑, 김춘추 3자 연대의 초석으로 결국 미실(고현정 분)을 역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밝혀져 시청자들의 탄성을 자아냈습니다. 이번 에피소드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미실의 좌청룡우백호였던 세종과 설원랑의 대립이 시작되고 이것이 결국 미..
신라시대에는 대원신통이라는 '왕에게 색을 제공하는 전문여성집단'이 있었는데 미실또한 이 집단의 일원으로 할머니인 옥진으로부터 방중술을 배워 3명의 임금(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과 태자(동륜)등을 유혹하여 왕실을 좌지우지하였습니다. [대원신통] 왕 등과의 혼인을 하는 여자를 공급하는 계통으로 인통(姻統)이라고 한다. 『화랑세기』에 나오는 인통은 진골정통과 대원신통이 있다.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였으며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인통의 계승은 완벽하게 모계 계승으로 이러졌는데 남자들은 한 대에 한하여 어머니의 계통을 따라 대원 신통이 되기도 하였다. 대원 신통은 화랑도 중 화랑과 낭도의 파를 나누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 다음 백과사전- 그것도 모자라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