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19일 방송분에서는 덕만의 이간책을 미리 간파한 미실이 화백회의 귀족들에게 미리 연통해 화백회의 당일, 10명의 귀족 중 단 한명만이 반대표를 던짐으로써 화백회의의 만장일치제도에 따라 조세개혁안은 부결됐고, 뜻밖의 상황에 덕만 일파는 크게 당황하게됩니다. 하지만 당황했던 순간은 잠시 덕만은 화백회의의 만장일치제를 다수결로 바꿀 것을 발의하게되며 화백회의장에 소란이 일어나면서 끝이 났습니다. 과연 삼국시대의 합좌제도(合坐制度)중 가장 유명했던 화백회의에서의 다수결 처리는 가능했을까요? - 화백(和白) 진골(眞骨) 귀족 출신의 대등(大等)으로 구성된 신라의 합의체 회의기구. 국가의 중대한 일들을 결정하고 귀족세력과 왕권 사이에서 권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졌다. - 합좌(合坐) 당상관(堂上官)들이 모..
21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천명공주의 아들 김춘추(유승호 분)가 서라벌로 들어와 덕만공주(이요원 분)을 만나지만 안타깝게도 이모인 덕만에게 적대감을 표출하는 춘추의 모습이 그려지며 드라마의 긴장감을 한층 높이기 충분했습니다. 한편, 춘추공이 서라벌로 돌아오는 계기가 된 것이 미생(정웅인 분)의 계략으로 자신의 아들이며 춘추의 어미인 천명을 죽인 대남보(류상욱 분)를 수나라에 있던 춘추에게 보내어 그가 직접 춘추를 수행하여 서라벌로 돌아온 것으로 나옵니다. 천명이 죽은 이후로 잠시 퇴장했던 꽃미남 대남보이 등장은 또 한 번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데요. 재미있는 사실은 드라마에서처럼 대남보가 미실의 동생인 미생랑의 아들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대남보는 9대 풍월주인 비보랑과 함께 전..
14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국선 문노가 주관해 화랑의 수장 15대 풍월주를 뽑는 비재중 1,2차에이어 하일라이트인 무술대결을 벌이는 3차 비재가 예고되면서 끝이 났는데요. 여기서 김유신(엄태웅)과 미실의 아들인 보종(백도빈)의 마지막 대결이 점쳐지는 가운데 과연 15대 풍월주의 주인은 누가 될지 많은 관심을 갖기에 충분했습니다. 13대 용춘공 (578년 - ?, 풍월주 596년 - 603년) 14대 호림공 (579년 - ?, 풍월주 603년 - 609년) : 드라마속 현재 풍월주 15대 유신공 (595년 - 673년, 풍월주 609년 - ?) : 김유신, 김서현과 만명의 아들 16대 보종공 (? - ?, 풍월주 ? - 621년) : 미실과 설원랑의 아들 위처럼 15대 풍월주는 김유..
MBC 월화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드라마 초반 화랑의 주인인 원화로 있던 미실이 지금은 그 자리를 천명공주에게 내어 주었습니다. 신라의 정신인 화랑의 주인이었던 그녀가 물러나게된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 원화제도의 시작 신라가 국가의 틀이 잡히기 시작할 무렵 젊은 인재의 등용이 필요하였는데요.진흥왕이 7세의 어린나이로 왕이되자 어미인 지소태후가 섭정을 하게 되는데 이때 그며가 왕에게 원화제도를 만들것을 제안합니다. 그리하여 두명의 어여쁜 여성을 원화로 삼아 300여 명의 젊은이들을 거느리게 하여 그들 중 필요한 인재를 등용하려고 하였는데 제1대 원화는 삼산공의 딸 준정이라는 여자였습니다. 문제는 원화제도를 제안한 지소 태후가 준정보다는 미진부의 아내 남모를 총애한것인데요. 남모는 법흥왕과 보과 부인..
14일 방영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이 유신을 회유를 하려 하자 '자신을 죽여서 그 시신을 가지는 것 외에 미실이 자신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미실과 대립하는 장면이 나왔는데요. 문제는 미실이 생존하던 시절 풍월주를 역임한 거의 모든 화랑들이 미실의 사람들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미실의 측근이 아니고는 풍월주가 되기 불가능했던 그 시절에 이렇게 미실과 대립했던 김유신이 어떻게 15대 풍월주가 될 수 있었나 하는 것입니다. 먼저 미실의 첫사랑 사다함부터 역대 풍월주에 대해 알아봅니다. 5대 사다함 (547년 - 564년, 풍월주 ? - ?) 6대 세종 (? - ?, 풍월주 ? - ?) : 독고영재 분 (미실의 남편) 7대 설화랑 또는 설원랑 (? - ?, 풍월주 ? - ?) : 전노민 ..
23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신라와 백제간에 벌어진 전쟁장면을 디테일하게 표현해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았는데요. 예기에 백제가 점령한 아막성과 속함성을 되찾음과 동시에 숙적인 김유신의 아버지까지 사지로 몰게하는 미실과 설원랑의 음모도 흥미로웠습니다. 사실 '선덕여왕'에서 보여준 아막성 전투는 역사상 실제로 벌어진 전투는 맞으나 이 전투에서 공을 세운 '서라벌 10화랑'과 덕만, 설원랑, 김유신등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만든 극적 설정이며 이 전투의 실제 주인공은 따로 있었습니다. 아막성 전투의 주인공 '귀산'과 '추항'을 소개합니다. 아막성(阿莫城)은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위치하며 함양군과 접경을 이루고 아영고원의 서쪽 능선과 봉화산(烽火山)에서 남쪽으로 뻗은 660m의 고지에 북쪽을..
MBC 드라마 '선덕여왕' 22일 방영분에서는 성인이된 덕만과 서라벌에 입성한 김유신(엄태웅 분)이 이끄는 용화향도가 '서라벌 10화랑'과 대립구도를 선보이며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켰습니다. 신라의 화랑도는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고 있었는데 화랑도는 화랑·낭두·낭도로 이루어졌으며 화랑도와 관련된 여자로서 화주·봉화·유화 등이 있었습니다. 낭두 : 화랑과 낭도 사이에 위치한 화랑도의 중간 세력 집단으로 화랑도 조직 중 화랑이 아닌 낭도 중 우두머리를 낭두라고 하였는데 그들이 일정한 세력집단으로 되어 화랑도의 낭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점차 그 지위를 확대하여 나갔다. 원래 낭두는 상선과 상랑의 마복자들 만이 될 수 있었다. 낭두에는 원래 7급이 있었는데 22세 양도공이 9급으로 늘렸다. 낭도 : 일반 서민들로 ..
15일 방영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국선 문노를 암살하기위해 설화랑(전노민 분)의 아들 보종이 화랑을 이끌고 문노가 있다고 알려진 절에가서 그곳의 승려들을 제거하지만 문노를 찾는데는 실패하죠. 이때 우연히 만난 천명과 덕만을 쫓아가다 매복해있던 임종의 무리들에게 공격을 받고 보종은 심한 부상을 입는데요. '선덕여왕'에 등장한 꽃화랑 보종과 임종에 대해 알아 봅니다. ■ 미실이 총애했던 아들, 보종 보종공은 설화랑과 미실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보종공의 아버지 설원랑은 출신이 미천하여 미실에게 붙어 낭도들을 많이 거느릴 수 있었는데 이 때문에 드라마에서는 미실의 보디가드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이죠. 미실은 자신의 아들인 보종을 각별하게 생각했는데요. 보종의 신분이 미천한 것을 염려하여 양명공주와 ..
MBC 새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의 초반 줄거히는 화랑세기에 언급된 미실(고현정 분)의 이야기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드라마 시작시에도 화랑세기를 참고하였다고 자막으로 알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실이에 대해 처음 언급된 역사서 '화랑세기는' 어떤 책일까요? 아직도 진위여부에 논란이 되고있는 '화랑세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화랑세기(花郞世記)'는 신라시대 김대문에 의해 저술된 신라시대 화랑도의 우두머리인 풍월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신라 성덕왕의 제위기간 (702년 - 737년) 사이에 쓰여진것으로 전해져오지만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서술할 때까지 남아 있었으나 김대문이 지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있었습니다. 그러다가 1989년, 남당 박창화가 일본 천황가의 보물창고인 정창원에서 필사했..
신라시대에는 대원신통이라는 '왕에게 색을 제공하는 전문여성집단'이 있었는데 미실또한 이 집단의 일원으로 할머니인 옥진으로부터 방중술을 배워 3명의 임금(진흥왕, 진지왕, 진평왕)과 태자(동륜)등을 유혹하여 왕실을 좌지우지하였습니다. [대원신통] 왕 등과의 혼인을 하는 여자를 공급하는 계통으로 인통(姻統)이라고 한다. 『화랑세기』에 나오는 인통은 진골정통과 대원신통이 있다.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였으며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인통의 계승은 완벽하게 모계 계승으로 이러졌는데 남자들은 한 대에 한하여 어머니의 계통을 따라 대원 신통이 되기도 하였다. 대원 신통은 화랑도 중 화랑과 낭도의 파를 나누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다. - 다음 백과사전- 그것도 모자라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