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영까지 단 10회만 남겨둔 MBC 월화드라마 ' 선덕여왕' 24일 방송분에서는 유배를 간 유신이 선덕여왕의 명을 받고 백제군영에 들어가 백제가 대야성(지금의 합천)을 함락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요. 대야성(大耶城)은 백제와의 접경지대인 신라 서부의 군사 요충지로서 삼국 간의 항쟁이 격화되던 7세기에는 신라의 대백제방어에서 최전선 역할을 하기도 했던 곳입니다. 그렇다면 선덕여왕 시절 실제로 대야성은 백제에 함락당했을까요? 632년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세상을 떠나자 뒤를 이어 신라 최초의 여왕이 된 선덕여왕 시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주변국인 고구려와 백제의 침공이 잦았던 시대였습니다. 특히 백제와 신라 간의 대립은 그야말로 극한 양상을 띠고 있었는데요. 이런 극한 대립의 정점이 바로 김유신의 가잠..
신라시대에는 인통이라하여 왕비를 배출하는 가문과 혈족이 있었는데 진골정통(眞骨正統)과 대원신통(大元神統)이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진골정통은 옥모를 기원으로 세종(미실의 남편, 독고영재 분)의 어미인 지소태후와 만명(유신의 어머니, 임예진 분)의 어머니인 만호태후로 대표되며, 대원신통은 보미를 시조로 하여 진흥왕의 황후였던 사도, 사도의 조카였던 미실 등이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진골정통(眞骨正統)과 대원신통(大元神統)을 양통(兩統)이라 하며 드라마 '선덕여왕'의 모티브가 된 '화랑세기'는 '성골과 진골'의 골품보다 이 양통(兩統)을 비중 있게 다룬 것입니다. 이 중 가장 유명했던 인물이 바로 대원신통(大元神統)의 미실인 것이죠. 하지만, 신라를 쥐락펴락했던 여인이 미실 뿐만이 아니었으니 이번 포스트에서는 ..
14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국선 문노가 주관해 화랑의 수장 15대 풍월주를 뽑는 비재중 1,2차에이어 하일라이트인 무술대결을 벌이는 3차 비재가 예고되면서 끝이 났는데요. 여기서 김유신(엄태웅)과 미실의 아들인 보종(백도빈)의 마지막 대결이 점쳐지는 가운데 과연 15대 풍월주의 주인은 누가 될지 많은 관심을 갖기에 충분했습니다. 13대 용춘공 (578년 - ?, 풍월주 596년 - 603년) 14대 호림공 (579년 - ?, 풍월주 603년 - 609년) : 드라마속 현재 풍월주 15대 유신공 (595년 - 673년, 풍월주 609년 - ?) : 김유신, 김서현과 만명의 아들 16대 보종공 (? - ?, 풍월주 ? - 621년) : 미실과 설원랑의 아들 위처럼 15대 풍월주는 김유..
17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덕만은 가야의 비밀결사대 복야회의 수장 월야(주상욱 분)를 만나게 되는데 여기서 월야는 자신을 가야의 마지막 태자인 월광태자의 장자로 소개하는 장면이 나왔습니다. '삼국사기'를 참고했을때 법흥왕 9년(522) 이찬(伊) 비조부(比助夫)의 누이동생을 가야국왕에 시집을 보내 태어난 이가 월광태자라 전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대가야와 신라는 왕실 간의 혼인을 통해 동맹관계를 맺었던 것이죠. 하지만 7년의 동맹은 신라의 배반으로 그 종지부를 찍게되었고 이로 인해 월광태자는 어머니가 신라인이라는 이유로 대가야 왕으로 즉위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 후 월광태자는 모든 것을 버리고 나병환자를 치료하다 일생을 마쳤다 전해집니다. 또 다른 설로는 결혼동맹이 깨진 후 진흥왕..
10일 방송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김유신은 천명공주에게 앞으로 덕만을 위해 살 것이라며 덕만에 대한 연모의 정이 있음을 밝히자 유신에게 애틋한 정을 품고있던 천명공주의 상실감이 극에 달하는 장면이 연출되었는데요. 이 장면을 보면서 개인적으로는 김유신에 관한 설화중 천관녀에 대한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다들 아시겠지만 천관녀는 신라 진평왕때 김유신의 첫사랑으로 알려진 기녀입니다. 김유신은 그녀의 미모에 반해 하루가 멀다하고 그녀를 찾아가자 이를 걱정한 어머니의 꾸중으로 다시는 그녀의 집으로 가지 않기로 맹세하하죠. 하지만 어느 날 술에 취해 집에 돌아가는데 말이 늘 하던 버릇대로 그녀 집 앞에 멈추자 정신이 든 김유신은 목숨처럼 귀히 여기던 말의 목을 베어버리고 맙니다. 이 소식을 들은 천관녀는 그의..
14일 방영된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이 유신을 회유를 하려 하자 '자신을 죽여서 그 시신을 가지는 것 외에 미실이 자신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미실과 대립하는 장면이 나왔는데요. 문제는 미실이 생존하던 시절 풍월주를 역임한 거의 모든 화랑들이 미실의 사람들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미실의 측근이 아니고는 풍월주가 되기 불가능했던 그 시절에 이렇게 미실과 대립했던 김유신이 어떻게 15대 풍월주가 될 수 있었나 하는 것입니다. 먼저 미실의 첫사랑 사다함부터 역대 풍월주에 대해 알아봅니다. 5대 사다함 (547년 - 564년, 풍월주 ? - ?) 6대 세종 (? - ?, 풍월주 ? - ?) : 독고영재 분 (미실의 남편) 7대 설화랑 또는 설원랑 (? - ?, 풍월주 ? - ?) : 전노민 ..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 29일 방영분에서 김서현의 부인인 만명은 어미인 만호태후를 찾아가 지난날 남편인 김서현과 만명사이의 일을 용서해달라 애원하는 장면이 나왔는데요. 과연 지난날 김서현과 만명에게서는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김서현((金舒玄, 정성모 분)은 김유신의 아버지이며, 금관가야 시조인 수로왕의 11세손입니다. 김서현의 아버지는 신주군주(新州軍主)를 지내며 관산성(管山城)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킨 각간 김무력(金武力)의 아들입니다. 위처럼 김서현의 가문은 그 공을 인정받아 신라 진골에 편입되긴 했으나 진골 중에서도 품계가 낮았습니다. 다시 말해 성골과 가까울수록 그 신분이 높게 인정되는 신라 왕족과 혈연관계가 적었던 것이죠. 반면에 만명공주(임예진 분)의 아버지는 진흥왕의 동생인 ..
23일 방송된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신라와 백제간에 벌어진 전쟁장면을 디테일하게 표현해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았는데요. 예기에 백제가 점령한 아막성과 속함성을 되찾음과 동시에 숙적인 김유신의 아버지까지 사지로 몰게하는 미실과 설원랑의 음모도 흥미로웠습니다. 사실 '선덕여왕'에서 보여준 아막성 전투는 역사상 실제로 벌어진 전투는 맞으나 이 전투에서 공을 세운 '서라벌 10화랑'과 덕만, 설원랑, 김유신등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만든 극적 설정이며 이 전투의 실제 주인공은 따로 있었습니다. 아막성 전투의 주인공 '귀산'과 '추항'을 소개합니다. 아막성(阿莫城)은 전라북도 남원군 운봉면에 위치하며 함양군과 접경을 이루고 아영고원의 서쪽 능선과 봉화산(烽火山)에서 남쪽으로 뻗은 660m의 고지에 북쪽을..
MBC 드라마 '선덕여왕' 22일 방영분에서는 성인이된 덕만과 서라벌에 입성한 김유신(엄태웅 분)이 이끄는 용화향도가 '서라벌 10화랑'과 대립구도를 선보이며 극적 긴장감을 고조시켰습니다. 신라의 화랑도는 체계적인 조직을 갖추고 있었는데 화랑도는 화랑·낭두·낭도로 이루어졌으며 화랑도와 관련된 여자로서 화주·봉화·유화 등이 있었습니다. 낭두 : 화랑과 낭도 사이에 위치한 화랑도의 중간 세력 집단으로 화랑도 조직 중 화랑이 아닌 낭도 중 우두머리를 낭두라고 하였는데 그들이 일정한 세력집단으로 되어 화랑도의 낭정에 영향을 미치는 등 점차 그 지위를 확대하여 나갔다. 원래 낭두는 상선과 상랑의 마복자들 만이 될 수 있었다. 낭두에는 원래 7급이 있었는데 22세 양도공이 9급으로 늘렸다. 낭도 : 일반 서민들로 ..
MBC 월화드라마 '선덕여왕'은 화랑세기에 등장한 미실과 선덕여왕, 화랑들의 이야기를 드라마화 한 것으로 배우들의 호연과 탄탄한 줄거리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6일 방영분이 끝나고 예고편에서는 덕만(훗날 선덕여왕)의 어린시절 이야기가 끝나고 성인이된 덕만과 천명, 김유신의 모습을 잠깐 볼 수 있었는데요. 지금까지 미실이 권력을 잡게된 배경과 덕만과 천명의 출생의 비밀, 그리고 이들 주변인물의 대립구도를 소개했다면 다음회부터는 본격적으로 성인이 된 덕만, 천명과 미실과의 대결, 그리고 김유신과의 사랑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될 듯합니다. 하지만, 드라마의 모티브가 된 화랑세기의 진위논란이 지금까지도 있는 가운데 화랑세기에서 조차 확인되지 않은 여러 이야기들이 작가의 무한한 상상력을 통해 양산되고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