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무심코 집어든 생수병이 자칫 위험한 화학 물질을 내포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최근 온라인 미디어 딤플리파이에 따르면 생수병 바닥에는 제조할 때 사용되는 재료명이 적혀있다. 우리가 실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제품에는 그 특성에 따라 우리 몸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높아 주의하는 것이 좋다. 또 참고로 제품에 따라 바닥이 아닌 라벨에 붙어있는 경우도 있으니 아무것도 적혀있지 않다고 당황하지 말자. 아래 재료 정보를 숙지해 물병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때마다 확인하자. 1. PET 또는 PETE 주변에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중 한 종류이며, 물병 또는 카페에서 주는 플라스틱 병 등에 사용된다. 국내에는 한글로 '페트'라고도 적혀있다. 한번 사용한 페트병은 세균이 번식하므로 절대로 재사용..
지인이나 회사동료 등 가까운 분들의 안타까운 소식을 접할 때면 마음이 무겁습니다. 하지만 떠나는고인의 마지막을 최대한 경건하게 배웅하기 위해서는 지켜야 할 도리가 있기 마련이죠. 특히 사외 초년생이나 조문의 경험이 많지않은 분들에게 조문이라는 것 자체가 부담일 수도 있는데요. 오늘은 조문 가기전 준비해야할 내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는 단 한번 자라나는 영구치로 평생을 사용해야 합니다. 치아관리가 중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치아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치약과 치솔을 이용한 관리법이 가장 일반적인데요. 많은 분들이 올바른 칫솔사용법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올바른 칫솔사용법을 소개합니다.
농약은 우리가 먹고 있는 많은 과일, 채소 등에 사용됩니다. 그래서 먹기 전 잔류농약을 걱정하기 마련인데요. 시중 유통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 불안감으로 무농약, 무공해, 친환경 농산물만 찾거나 아예 채소 섭취를 꺼려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안전한 농산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세척해야 할까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15년 유통 농수산물 65,043건을 수거, 검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720건(부적합률 1.1%, 농산물 670건·수산물 50건)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적합 농산물은 시금치(68건), 깻잎(65건), 부추(56건), 상추(51건), 쑥갓(42건) 등 채소류가 주를 이뤘으며, 수산물은 주꾸미(24건), 새우(10건), 낙지(5건), 해파리(3건), 장어(2건) 등으로 조사..
향수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여러 종류를 사용하고 또 보유하고 있을 텐데요. 이러다 보면 유행이 지난다거나 취향이 아니어서 등... 여러 이유로 다 사용하지 못하고 유통기한을 넘겨서 속상하기도 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지 고민을 할 경우가 있습니다. 오래된 향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꿀팁이 있어 소개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Pt_XKq7AGs
여름 휴가 시즌이 다가 오고있습니다. 다들 바다로 갈까 산으로 갈까 행복한(?)고민을 하고 있을텐데 산으로 생각하고 있는 분들 중에는 자연 휴양림도 후보에 두고 있을거 같습니다. 휴가철이 다가오면 전국의 자연휴양림을 예약하기가 결코 쉽지 만은 않을텐데 '숲나들e'를 이용하시면 좀 더 편하게 예약이 가능할 거 같습니다. '숲나들e'는 산림청이 24일 정부혁신 추진사업의 일환으로 구축한 전국의 모든 자연휴양림을 한곳에서 예약하고 결제까지 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숲나들e'에서는 유명산, 천보산, 팔공산 등을 포함 전국 58개 자연휴양림(국립 42, 공립 16)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이용 방법은 본문 아래에 제공하는 링크를 방문하시거나 네이버, 구글 등 검색포털에서 '숲나들e'를 검색하면 됩니다. ..
스트레스 때문에 위가 불쾌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자율 신경 및 위장 기관과 밀접하게 관계있는데요. 위와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면 자율 신경에 영향을 준다. 불안과 분노를 안고 있을때 위의 불쾌감을 느끼거나 식욕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병원을 방문하여 내과 진찰해봐도 별다른 원인을 찾을 수없는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위장 장애 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있으면 왜 위장이 나빠질까요? 그것은 위장이라는 기관이 자율 신경의 활동과 밀접하기 때문입니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자율 신경의 균형이 흐트러지기 쉽게 되기 때문에 위 상태가 나빠지거나 설사나 변비에 걸리기 쉽습니다. 긴장하면 식욕이 없어지는 교감 신경의 분비가 원인. 식사 할때의 정신적, 심리적 상태도 ..
탈룰라는 대화 도중 의도치 않게 상대방의 가족을 욕되게 한 화자가 상황을 재치 있게 무마하고자 하는 변명을 가리키는 신조어다. 탈루라는 예전부터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던 유머 짤이었지만 2017년 후반기부터 넷상에서 함부로 상대방의 신체나 부수적인 무언가가 형편없다거나 별로라고 장난삼아 이야기 했는데 알고 보니 그게 상대방의 부모님이거나 부모님과 관련된 것들이면 굉장히 뻘쭘해지는 상황을 일컫는 말로 퍼져 나가졌다. 물론 이러한 상황 유머 역시 예전부터 유행하던 편이지만, 이게 '탈룰라' 장면과 결합한 것 자체는 2017년 후반부터 시작하였다. 탈룰라의 유래는 이는 1993년 개봉된 영화 '쿨러닝(Cool Runnings)'에서 비롯된 것으로, 영화에서 ‘탈룰라’는 자메이카 봅슬레이팀이 사용했던 썰매의 이름이..
카드 포인트는 회원이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카드사용금액 및 카드 사용처에 따라 일정포인트를 적립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로 유효기간은 보통 5년(60개월)이나, 포인트 제공사(카드사 및 제휴사 등), 포인트 종류 등에 따라 유효기간이 1 ~ 3년 또는 무제한인 경우도 있다. 적립된 카드 포인트는 포인트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 또는 쇼핑몰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하거나 기부도 가능한데, 문제는 본인의 카드에 누적된 포인트를 잘 알지 못하고 소멸시키는 경우가 많고, 조회를 하고 싶어도 카드회사별로 따로 조회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를 좀 더 편리하게 도와주는 제도가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서비스'이다. '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서비스'는 카드회원에 대한 서비스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카드회원이 개별카드사를 통해 ..
- 나눔로또→동행복권 변경 - 온라인 구매 ‘OK’, 1회 - 추첨 방송도 MBC 에서 지난 2일부터 복권수탁사업자 '나눔로또'에서 '동행복권'으로 변경됐다. 동행복권에 따르면, 복권수탁사업자는 이날부터 ‘나눔로또’에서 동행복권으로 변경됐다. 동행복권은 제주반도체를 대주주로 한국전자금융, 에스넷시스템, 케이뱅크 등이 주주로 참여한 회사다. 동행복권은 앞으로 5년 동안 로또와 연금복권, 인쇄복권, 전자복권 등 모든 종류의 복권 수탁업무를 담당한다. 수탁사업자가 변경되면서 로또와 연금복권 추첨 방송사와 방송 시간도 달라진다. 로또복권은 오는 8일 예정된 제836회차부터 SBS에서 MBC로 방송사가 변경된다. 추첨시간은 매주 토요일 오후 8시45분이다. 연금복권의 경우, 5일 예정된 제388회차부터 현행 SB..
커피믹스의 장대한 역사는 미국 남북전쟁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군대에서는 흔하게 술을 지급했는데 술에 취한 병사로 인한 사고가 잦자 로스팅한 커피를 보급하게 된다. 나중에 군납업자들이 커피에 모래를 섞어서 양을 늘리는 군납비리를 저지르는 바람에 로스팅도 하지 않은 생두 상태로 보급을 하게 되었다. 이후에 커피와 연유를 섞어서 졸인 것을 군인들을 대상으로 납품되었는데, 여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마시면 커피가 완성되는 형식으로 이것이 최초의 인스턴트 커피이자 커피믹스하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차 세계대전 때 미국의 초대 대통령과 동명이인인 조지 워싱턴이라는 사람이 인스턴트 커피를 개발하여 군 보급물자로 납품하여 인스턴트 커피가 퍼지게 된다. 이후 제 2차 세계대전때 혈장보존을 위해 개발한 동결건..
주차를 하듯 목돈을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으로, 통장에 자금이 고정되어 있으면 일반 수시 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 운행을 멈추고 잠시 차를 세워놓는 ‘파킹(parking)’처럼 주차하듯이 목돈을 은행에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통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수시 입출금 통장은 연 0.1~0.2%(세전) 수준의 이자를 지급하지만, 파킹통장은 일정 금액 이상이 통장에 예치돼 있으면 연 1%를 넘는 금리를 지급한다. 또한 정기예금·적금과 달리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것은 물론 예금자 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 원금 보장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장어와 매실'은 식궁합이 나쁘다? 옛날 일본에서는 '장어와 매실'이 식궁합에 좋지 않다 하지만 실제 이를 함께 먹는 것이 신체에 해를 끼치는 것은 없습니다. 그 외에도 '튀김과 수박', '튀김과 빙수'등의 다양한 나쁜 식궁합들이 있는데 이것들 또한 몸에 좋지 않다는 어떠한 영양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아마도 사치와 과식에 대한 경각심이거나, 식중독 예방의 의미에서 비롯되지 않았을까요? '장어와 매실'을 예로들면 식사를 할 때 매실 장아찌와 함께 비싼 장어를 먹으면 필요 이상으로 너무 많이 먹는 호사로 생각했던거 같고, 음식이 상한 경우 많은 음식들이 신맛을 강해지지만 매실 장아찌와 함께 먹는 경우 썩은 장어의 신맛을 눈치채치 못하고 먹게되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현재도 자주..
탄력근로제란 일정 기간 내에 근로시간을 늘리고 줄이면서 조절하는 제도이다. 근로시간을 일일, 일주일 단위로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아니라 탄력적으로 근무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주 단위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적용하면 업무가 많은 첫 주에는 58시간 일하고 상대적으로 일이 줄어든 다음주에는 46시간 일해 평균 근로시간을 주당 52시간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유연근무제의 일종으로, 근로기준법 51조에 근거를 둔 제도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법정근로시간(하루 8시간, 주당 40시간)을 초과하면 기업은 이에 따른 초과근무수당을 지급해야 하지만, 탄력적 근로시간제도에 따르면 전체 법정근로시간만 넘지 않으면 특정 기간에 근로시간을 늘려도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노동자들의 과중한 근..
최근 청와대 출입기자단이 문재인 대통령의 외부 일정을 미리 보도하지 않는 이른바 ‘대통령 경호 엠바고’를 어기고 하루 전에 대통령의 방문장소를 보도한 부산일보와 전자신문에 각각 출입정지 사흘의 징계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엠바고(embargo)는 일정 시간까지 어떤 기사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보도를 중지하는 것을 말한다. 엠바고는 보통 특정 기관과 해당 기관에 출입하는 기자들 사이의 합의로 설정이 된다. 해당 기관이 요청하기도 하고, 출입 기자들이 먼저 합의를 해 기관에 요청하기도 하는데 이를 어긴 것이다. 경제적 의미 엠바고는 원래 경제용어로 한 국가가 다른 특정 국가에 대해 금융거래, 투자 등의 통상을 금지하는 조치를 의미하며, 압류를 뜻하는 스페인어 embargo에서 유래했다. 한 국가가 특정 국가에 ..
위수령[衛戍令]은 육군 부대가 한 지역에 계속 주둔하면서 그 지역의 경비, 군대의 질서 및 군기(軍紀) 감시와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된 대통령령(大統領令)으로 1950년 3월 공포됐다. 그러다 2018년 7월 4일부터 8월 13일까지 국방부가 위수령 폐지령안을 입법예고한 데 이어, 정부가 9월 1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고 위수령 폐지령안을 심의·의결하면서 위수령은 68년 만에 폐지됐다. 위수령은 비상사태나 자연재해 등으로 군사시설 보호와 치안 유지를 위해 육군부대가 주둔하는 것을 뜻한다. 권력적 작용은 없고, 물리적 작용은 가능한 방식이다. 쉽게 말해 경찰로 치안유지가 불가능해진 상황에 위수지역의 육군 부대를 출동시키는 것. 계엄령과 달리 국회 동의가 필요없다. 위수령에 따른 병력..
스모킹 건(smoking gun)은 문자 그대로 직역하면 '연기가 나는 총'을 뜻하며, 범죄나 특정 행위, 현상에 관한 결정적 증거를 의미한다. 탄환이 발사된 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누군가 그것을 쥐고 있다면 그 사람이 범인이라는 결정적 증거가 되기 때문이다. 스모킹 건이란 표현은 영국의 추리소설 작가인 코넌 도일(Arthur Conan Doyle, 1859~1930)이 1893년 발간한 셜록홈스 시리즈의 하나인 에서 유래되었는데 소설 속에는 스모킹 건 대신 스모킹 피스톨(smoking pistol)이라고 되어 있다. 소설에는 선상에서 일어난 살해사건을 묘사하는 대목에서 ‘목사는 연기가 나는 총을 손에 들고 서 있었다(the chaplain stood with a smoking pistol in his..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품중에 나무 젓가락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나무젓가락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통되는지 알지 못하고 사용을 하는데, 대부분 중국에서 제조하는 나무젓가락의 정보에 대해 소개합니다. 1. 비위생적인 생산 방식 가장 흔한 나무젓가락이 라면이나 자장면을 먹을 때 사용하는 백양목으로된 나무젓가락인데 인건비의 문제로 이젠 한국에서는 그 젓가락을 생산하지 않고 있다.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는 백양목 젓가락은 생산과정이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2006년 MBC 불만제로에서 고발하기도 했다.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제대로 된 교육도 받지 않은 상태이며 중국 상하이의 한 매체는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의 허술한 관리를 문제 삼기도 했다. 매체에 따르면 나무젓가락 공장들..
11일 첫방영된 SBS 드라마 '해치'는 무수리의 몸에서 태어난 왕자 연잉군 이금(정일우 분), 만년 과거 준비생 박문수(권율 분), 사헌부의 열혈 다모 여지(고아라 분), 저잣거리의 떠오르는 샛별 왈패 달문(박훈 분)이 함께 힘을 합쳐 끝내 대권을 쟁취하고 조선의 사헌부 개혁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입니다. * '해치'는 선악을 구별하고 정의를 지키는 전설 속의 동물 '해태'를 의미 노론과 소론이 첨예하게 대립하던 숙종~영조 시대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인 만큼 역사적인 사실을 먼저 알고 감상하면 200% 더 재미있는 SBS 드라마 '해치'를 소개합니다. 시대적 배경 먼저 드라마의 주요 대립관계인 소론과 노론에 대해 얘기를 하겠습니다. 소론과 노론을 말하기 위해서는 좀 더 과거로 돌아가서 숙종대에 발생한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