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대하드라마 "천추태후"는 고려 초기 거란과의 전쟁을 배경으로 고려의 자주성과 고구려의 찬란했던 영광을 회복시키기 위해 투쟁했던 천추태후의 일대기와 강감찬으로 대표되는 전쟁영웅들의 활약상을 다룬 드라마로 지난 1월 첫방송이후 9개월 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27일 종영되었습니다.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서 고구려의 향수 다시 느끼게함과 동시에 역사 속에서 단지 요부로만 치부되고 있는 천추태후를 새로게 재조명한 이 드라마는 천추태후(황보수) 역에 배우 채시라, 천추태후 일생의 연인으로 신라의 부흥을 꿈꾸는 김치양 역에 김석훈, 황보수의 곁을 마지막까지 지킨 강조 역에 최재성, 전장을 누비며 고려의 강토를 지킨 강감찬 역에 이덕화가 주요 배역을 맡으며 방영 전부터 화제가 되 었으며 김소은, 최철호 같은 새로운..
16일 방송된 KBS2 대하 주말드라마 '천추태후'에서 목종(이인)이 자신의 동성애 사실을 알리며 황위에서 물러날 것을 밝히자 김치양이(김석훈)이 천추태우를 찾아가 자신의 아들 대량원군(김지훈)대신 자신의 아들을 황제로 세워줄것을 간청했으나 거절당하자 거병하여 난을 일으키는 장면이 나왔는데요. 사실 김치양의 난은 실행에 옮기기 전에 이를 염려한 목종이 강조를 불러 진압되고 맙니다. 이를 계기로 난을 일트켜 목종을 폐하고 대량원군을 황제로 만든 장본인은 바로 강조였습니다. 성종이 죽고 목종이 왕이 되자 천추태후가 섭정을 시작하게 되는데 얼마 안있다 그녀의 정부인 김치양사이에서 아들이 태어나게 되죠. 이를 계기로 천추태후와 김치양은 목종의 후계자로 이들의 아들을 추대하려하지만 그들에게는 대량원군이라는 목에 ..
KBS 대하사극 '천추태후'에서는 문화왕후의 아비인 김원숭의 계략으로 목종에게 김밀화라는 여인을 접근하게 하여 급기야 후비로 입성시키는 데 성공하는 장면이 방영되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목종에게는 후비가 없었으니 드라마에 등장한 김밀화라는 여인 또한 가상인물인 것이죠. 문제는 드라마에 등장하는 이러한 주요인물들의 사실 여부를 시청자들은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차라리 '바람의 화원'이나 '자명고'처럼 '천추태후' 또한 팩션사극이라면 몰라도 '용의 눈물', '대조영'등 명작 사극의 대를 이어 제작된 대하사극이라 자칭하는 '천추태후'에서 이러한 인물설정의 심각한 왜곡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이번 목종의 후비건 말고도 일일이 언급하기에도 벅찰 만큼 온갖 가상인물과 실존인물의 왜곡이 심한 드라마이니 일단..
KBS 대하사극 '천추태후' 5일 방영분에서는 천추태후가 임신한 것을 안 목종이 이에 불만을 품고 이종사촌인 대량원군에게 선위할 뜻을 대신들에게 알리면서 또 한 번 천추태후와 목종 사이에는 불신이 싹트고 마는데요. 대량원군은 천추태후의 동생인 헌정왕후(황보설, 신애분)와 안종 왕욱(경주원군,김호진 분)의 불륜관계로 태어난 아들로 이 사실을 안 성종은 안종 왕욱을 경상도 사수현(泗水縣·사천)으로 귀양보냅니다. 이때 헌정왕후는 귀양을 가는 왕욱을 배웅하고 돌아오다 집 앞에서 산기(産氣)를 느끼고 길가 버드나무 아래에서 아이를 낳았는데 그가 바로 대량원군입니다. 한편, 어머니인 헌정왕후가 죽고 아비인 안종 왕욱도 귀양을 가있는 터라 대량원군(왕순)은 두살 때까지 궁중에서 길러지는데요. 어느 날 왕순이 성종의 ..
14일 방영된 KBS 대하사극 '천추태후'에서는 목종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는 천추태후(채시라 분)가 국방력을 강화시키려는 방법으로 무예대회를 열어, 양규(홍일권 분), 김숙흥(홍성호 분) 등의 인재를 발탁하는데요. 무예대회에 앞서 양규는 서희와 강감찬이 함경도 일원에서 발견한 인물이며, 김숙흥은 천추태후가 유배를 가 있던 울산에서 눈여겨보았던 인물로 두 사람이 천추태후 주요인물과의 첫 만남, 무예대회를 통한 또 한번의 재회는 작가의 상상력일 가능성이 크지만 드라마 전개상 이후 펼쳐질 그들의 활약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성종이 아들 없이 죽고 경종의 아들인 목종(천추태후의 아들)이 즉위하자 김치양 등의 외척 세력은 천추태후와 결탁하여 정계에 다시 등장하여 권력을 휘두르게 됩니다. 그것도 모자라 김치양은 ..
6/6 방영예정인 KBS 대하사극 '천추태후'에서는 고려 6대 성종이 죽고 제 7대 목종이 왕이 되는 장면이 전파를 타게 되는데요. 드디어 아들인 목종의 뒤에서 섭정을 시작하는 천추태후의 시대가 시작된 것이죠. 이와 반면에 그동안 천추태후와 대립하며 경주원군의 자식인 대량원군(훗날 현종)을 옹립하려던 문화왕후(문정희 분)는 지아비인 성종이 죽으면서 그녀가 꿈꾸던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고 맙니다. 성종은 3명의 부인에게서 2녀의 자식을 두었습니다. (제 1비인 문덕왕후에게도 딸이 있었지만 성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이 아니라 문덕왕후가 성종에게 재가하기 전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이므로 제외합니다. 문덕왕후의 딸은 훗날 목종의 부인이 되며 선정황후(이인혜 분)로 불립니다.) 한편, 성종의 제 2비인 ..
대종 욱(태조 왕건와 선정왕후 소생)과 선의왕후의 2남인 성종은 981년(경종 6년) 사촌형인 경종(최철호 분)이 위독하자 내선(內禪)으로 왕위에 오릅니다. 이때 경종에게는 성종의 여동생인 황보수(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이미 2살 된 아들 송(목종)이 있었으나, 너무 어려 국사를 맡을 수가 없었기에 대신 왕이 된 것이죠. 22세에 왕이 된 성종은 16년의 재위기간동안 많은 치적을 쌓았으나 38세가 되던 997년 병을 얻자 자신의 조카이며 경종이 아들인 왕송(개령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그 해 10월 사망합니다. 성종은 죽을 때 까지 아들이 없고 문화왕후(문정희 분)과 연창궁 부인 사이에 각각 1녀가 있었는데 이 두딸은 훗날 현종의 아내가 됩니다. (드라마에서 거란의 여인이 성종에게 시집온 것은 허구입니다..
KBS 대하사극 '천추태후'에서 후에 천추태후가 되는 황보 수(채시라 분)의 활약이 대단한데요. 1차 침입 시 안융진성에서 보여준 그녀의 가공할 만한 무예와 기상은 아무리 남녀차별이 덜했던 고려시대였지만 왕족의 귀한 몸으로 저렇게 직접 전장에 나가 싸울 수 있었던 게 가능했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사실 고려시대에는 유교적 윤리가 정착되지 않았던 시대였습니다. 따라서 밖에서는 몰라도 적어도 가정에서는 남녀가 평등하여 제사를 지낼 필요가 없었고 재산을 아들과 동등하게 상속받을 수 있었으며 집안의 호주가 되는 것도 가능한 시대였던 것입니다. 이는 성리학이 완전히 정착되기 전인 15세기까지도 이어졌고 16세기 사림이 득세하여 남녀유별사상이 나오기 전까지 지속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혼하거나 재혼한 ..
KBS 대하사극 '천추태후'에서 안융진 성주로 있다 거란의 1차 침입에서 비굴하게 항복하려한 죄로 강등한 후 지금은 문화왕후(문정희 분)의 첩자 노릇을하고 있는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이현운(李鉉雲: 최준용 분)인데요. 드라마에서처럼 궁궐에서 왕후의 첩자로 있었던 것은 허구로 보이나 그에 대한 기록이 그리 많지 않기에 정확하게 아니다는 말은 할 수 없겠네요. 아무튼, 이현운이라는 인물은 실존인물로 역사의 배신자로 알려진 인물입니다. 성종이 아들 없이 죽고 경종의 아들인 목종(천추태후의 아들)이 즉위하자 김치양 등의 외척 세력은 천추태후와 결탁하여 정계에 다시 등장하여 권력을 휘두르게 됩니다. 그것도 모자라 김치양은 천추태후와 불륜의 아들을 낳고 그를 책봉하고자 대량원군(大良院君 후의 현종)을 살해할 모의..
승천황태후(承天皇太后)로도 불리는 소태후(蕭太后)는 요나라 경종의 황후이자 요나라 성종의 어머니로 남편인 경종이 몸이 허약해 그의 재위 시절에도 주요한 정사를 처리하였으며 982년 요 성종이 12세의 나이로 보위에 오르자 섭정을 하게 됩니다. 이때 한덕양(韓德讓:이진우 분)은 예지황후(睿知皇后) 등과 성종의 옹립에 진력하여 승천태후의 신뢰를 얻었고 그 뒤 송과의 전투에서도 승천태후 밑에서 활약하여 마침내 송을 굴복시키고, 전연(澶淵)에서 화의를 맺고 요나라 최성(最盛)시대의 기초를 확립하는 인물입니다. 한덕양(941~1011)은 한족 출신으로 조부 건지고(乾知古)가 태조(太祖)를 섬겼고, 아버지 한광사(韓匡嗣)는 남서면초토사(南西面招討使)가 되었는데 놀라운 사실은 이들이 처음엔 황실의 노예였다는 사실인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